학술논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에, -에서’오류 양상 연구
이용수 245
- 영문명
- A study on the ‘-e(-에), -eseo(-에서)’ and errors by Chinese Korean learners: Focusing on the meaning of ‘Place’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위유(WEI WEI)
- 간행물 정보
- 『미래교육현장연구』교과교육연구 42권 2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장소’ 의미를 지니는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의 의미적 특징을 살피고,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토대로 중국인 학습자의 사용 오류 양상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에’와 ‘-에서’는 모두 중국어 개사 ‘在’로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국인 학습자들이 두 조사 간의 의미 차이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여 많은 오류를 일으킨다. 선행 연구에서 시도한 ‘-에’와 ‘-에서’의 의미 분류에 따르면 두 조사는 공통적으로 장소 의미를 지니기는 하지만, 후행하는 서술어나 동사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분화된다. 또한 ‘-에’가 ‘-에서’보다 더 다양한 의미를 지니며, 용법에 따라 의미 차이가 발생하기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한편 중국인 학습자들의 오류 양상 분석 결과, 모든 등급에서 ‘-에’를 ‘-에서’로, ‘-에서’를 ‘-에’로 교체하는 대치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자가 ‘-에’의 장소 의미를 먼저 교육한 다음, ‘-에서’를 가르칠 때 두 조사 사이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자세히 설명할 필요가 있으며, 두 조사가 각자 어떤 서술어와 연결될 수 있는지도 함께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postposition -e and -eseo which have place meaning, then analyze the usage error patterns of Chinese learners based on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e and -eseo both can be corresponded with Chinese preposition zài . Thus, Chinese learners cannot distinguish differences of meanings between -e , -eseo and zài correctly, causing many usage error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tried classifying semantic characteristics, -e and -eseo both have place meaning, but they are diverged in various meanings depending on following predicates. We also confirmed that -e has more meanings than -eseo and accordingly, differences in meaning may occur.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of analysis on error patterns in Chinese learners showed the ‘substitution’error that replacing ‘-eseo’ when ‘-e’ should be used, and vice versa occurred the most in all grad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instructor to educate the place meaning of -e first, and then explain in detail the difference between -e and -eseo when educating -eseo , and which predicates -e and -eseo can be linked to.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에’와 ‘-에서’의 사용 오류 양상 및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