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대생들의 학교생활 문화에 관한 사례연구
이용수 240
- 영문명
- A Case Study of School-life Culture of Students in University of Education:Focusing on J University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정윤경(Yunkyoung Chung) 서유진(You-jin Seo)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7권 제4호, 219~256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J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문화를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총 7명의 J 교육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 및 학과 선택, 수업 활동, 학교 내 활동, 학교 외 활동 영역으로 분류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면담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Merriam(2009)의 순차적, 순환적 자료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최종적으로 4개의 주제, 8개의 범주, 60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4개의 주제는 1) 편안한 현재 그리고 안정적인 미래를 꿈꾸며, 2) 수업은 No, 임용은 Yes, 3) 우물안 개구리, 교대생, 4) 이렇게 살아도 되나?:좋은 교사가 되기 위한 변화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제, 범주, 의미단위를 토대로 교대생들이 올바른 인성과 교직에 대한 신념과 사명감을 갖춘 초등교사로 성장하기 위한 초등교원 양성체제의 변화의 필요성과 개선방향, 정책적 시사점 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As a case study, this study analyzed school-life culture of students in J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earcher interviewed a total of 7 students of J university of education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about choice of university and major, class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of the school.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circulational and sequential method by Merriam(2009) and then identified 4 themes, 8 categories, and 60 meaningful units. The identified 4 themes are 1) hoping for comfortable present and a stable future, 2) no to class but yes to teacher-qualification test, 3) a student of a university of education, being a big frog in a small pond, 4) am I doing alright? ?: changes to be a good teacher.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 was made on the changes and directions for appropriate teacher education systems to nurture ‘a good teach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7권 제4호 목차
- 교대생들의 학교생활 문화에 관한 사례연구
-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결혼생활 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마을기반 학교교과목 개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청소년기 아버지와 사별이 성장과정과 성인기 삶에 미치는 영향
- 자기 극복(Self-Overcoming)의 의미로서 마라톤 참여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도박중독의 회복 경험에 관한 해석 현상학적 분석
- ‘의미있는 타자’ 경험을 통한 청소년기의 위기에서 성인기 의미있는 삶으로의 변화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국내 상담학 분야의 자문화기술지 연구동향
- 독서 정책 분석에 기초한 독서생태환경 구축 및 방향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