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ethod of Position Correction Exploiting Street View and Character Tag for Location-based AR games in Urban Environments
이용수 1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박진현(Jin Hyun PARK) 박준(Ju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34권 4호, 99~11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위치 기반 AR 게임에서 모바일 기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모바일 기기에 내장되어 있는 위치 추정 시스템이 얼마나 정확하게 위치정보를 추정하는 지가 증강되는 AR 콘텐츠의 정확도를 결정한다. 하지만 도시 환경에서는 건물, 건축물, 광고판, 표지판 등 지형지물 및 장애물에 의해서 위치 추정을 위해 필요한 신호가 반사, 굴절, 회절, 차단 등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모바일 기기의 위치 추정 시스템으로부터 추정되는 위치에 오차가 생기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 환경에서 모바일 기기의 위치 오차가 증가하는 현상에 대해서 상용 스트리트 뷰와 문자 태그를 활용하여 심플하면서도 신뢰성 있는 위치 보정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위치 보정 방안은 쿼리 이미지와 스트리트 뷰 파노라마 이미지로부터 생성된 문자 태그를 대조하는 것을 통해서 매칭 스코어를 계산한고 매칭 스코어에 따라 쿼리 이미지를 촬영한 실제 위치와 가까운 스트리트 뷰를 검색하는 것을 통해서 모바일 기기의 위치를 보정한다. 제안하는 위치보정 방안은 위치 오차가 43.71m인 위치를 위치 오차가 4.09m인 위치로 보정하였으며 낮과 밤에 관계없이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영문 초록
In location-based AR games, accurately estimating a position of a mobile device is one of important factors. The accuracy of AR contents is determined by how accurately a position estimation system of a mobile device estimates a position. However, in urban environments, signals needed for estimating a position will be reflected, refracted, diffracted, and blocked by obstacles such as buildings (especially skyscrapers), billboards, and signs. As a result, a position error occurs in the position estimated by the position estimation system of the mobile devi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imple and reliable method of position correction exploiting commercial street view and character tags. We calculate a matching score by comparing character tags generated from an query image and street view panorama images. Then, according to the matching score, the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 is corrected through retrieving a street view that is close to the actual position (ground truth) where the query image was taken. We corrected a position with a position error of 43.71m to a position with a position error of 4.09m using the proposed method. One of the advantages of the proposed method is that the position can be corrected regardless of day or night.
목차
1. Introduction
2. Related research
3. Research Method
4. The result of an experiment
5. Conclusion
Acknowledgement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D Spatial Arrangement Method of 360° Image with Depth Applied Considering Player Movement
- Method of Position Correction Exploiting Street View and Character Tag for Location-based AR games in Urban Environments
- TogetheRand : the Collaborative Random Number Generator
- A study on the Trend of Character Customization System UI
-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One-person Game Broadcasting Platforms Attributes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Online Card Games Considering Deck Buildings
- A study of development of VR stop motion 3D scan data dynamics and animation system module applicable
- Image-Text Sentiment Analysis Model Based on Visual Aspect Attention
- Facial Recognition Using an Ensemble Model of Dimension Reduction Techniques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 A Study on The Three-Dimensional Transformation method for the Weaving Maze
- Case study of a triangle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class in the contest format - focusing on game content design class
- Design of Farm Simulator using Cloud Farm Data
- Is it possible to measure emotional intelligence with serious games?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 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 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 정보디자인의 개념과 특징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4권 제6호 목차
- A review of the clinical implementation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system utilizing Korean technology
- 범주형 변수와 연속형 변수가 혼합된 시계열 데이터 예측 기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