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f some issues about the Dividing Possessional Joint Ownership.
- 발행기관
- 한국집합건물법학회
- 저자명
- 박세창(Park, Sae-Chang)
- 간행물 정보
- 『집합건물법학』제4집, 113~13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 일련의 판례가 토지와 건물을 불문하고 인정하는 이른바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의 성립요건과 그 법률관계를 재검토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의 성립요건과 그 법률적 구성의 성질 및 구체적 법률관계를 판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그 타당성여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서는 비록 등기명의가 공유로 된 경우라도 그 내부관계에서는 그 공유자의 단독소유로 된 것이어서 통상의 공유와는 달리 공유자 우선매수권은 인정할 실익이 없고, 그 특정부분의 점유에 관하여도 자기소유 점유로 되어 취득시효의 기초가 되는 점유로는 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더욱 구분소유적 공유로 건물을 소유하고 있는 공유자가 그 건물 또는 토지지분에 대하여 저당권을 설정하였다가 그 후 저당권의 실행으로 소유자가 달라지게 되면 건물 소유자는 그 건물의 소유를 위한 법정지상권을 취득하게 되는 것으로 정리되며 이와 같은 대법원의 판례는 모두 정당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물권변동의 형식주의를 취하는 우리나라 법제 하에서 이와 같은 구분소유적 공유관계를 인정할 것인가는 재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영문 초록
We reexamined requirements for the conclusion and Juridical relation of the Dividing possessional joint ownership which judicial precedent of Korea recognize. So in this dissertation, analyzed requirements for the conclusion, property of juridical construction and concrete juridical relation of joint divided ownership mainly with judicial precedent and considered the validity. As a result, in the relationship of dividing possessional joint ownership is not profitable to admit a joint owner preemption, differently with normal joint ownership, because it is a independent possession of the joint owner in the internal relationship even if registered as a joint. And refers to a possession of the specific part, as becomes the possession of one’s own ownership, could not be the possession which makes the foundation of an acquisitive prescription. Thus, when a joint owner who own a building as a dividing possessional joint ownership set a mortgage about this building or land shares and afterward a owner is changed because of a execution of the mortgage, the owner of this building would acquire legal superficies. The supreme curt deserves this precedent, but on our legislative system that assume a Formalism for the fluctuation of a real right, necessity of the relationship of dividing possessional joint ownership should be reexamined.
목차
Ⅰ. 서설
Ⅱ.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의 의의와 성립
Ⅲ. 구분소유적 공유의 법률관계
Ⅳ. 결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디지털포렌식 절차에서 음란물 디지털 증거의 관련성과 문제점 - 대법원 2023도11395 판결을 중심으로
-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대면권과 전문법칙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 ‘수사와 기소 분리’ 법률안에 대한 논의와 대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