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외 대학입시 개혁의 특징 및 시사점

이용수  2,189

영문명
Implications of University Admission Reforms in China, Japan, and France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지은림(Chi, Eunlim)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31권 제6호, 29~5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급변하고 있는 사회적·교육적 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대학입시 개혁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가장 최근에 대입 개혁을 추진한 중국, 일본, 프랑스 사례들을 조사,분석함으로써 대입 개혁의 주요한 특징 및 방향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미래형 대입제도 개혁을 준비하고 있는 우리나라를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입 개혁의 배경, 주요 개혁 내용, 개혁의 추진 경과 등에 대해 세 개 국가들의 사례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로 첫째는 최근의 대입 개혁들이 모두 미래 핵심 역량인 창의력, 사고력, 문제해결력 등의 고차적 사고능력을 기를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하기 위해 대학입학시험의 과목 및 출제 유형을 바꾸고 있다는 것이었다. 둘째는 대학입시가 학업성적 위주에서 전인적·종합적 평가로 전환되면서 다원화 되고 있고 있다는 것이었으며, 셋째는 고교 교육과 대학 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한편 일본 사례를 통해서 국가수준 대학입학시험의 서술형 도입은 채점의 신뢰성 확보가 관건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중국, 일본, 프랑스의 대입 개혁은 기본적으로 개혁의 방향이 대학이 미래 인재 역량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 입시 제도를 통해 학교 교육이 적합한 역량을 길러낼 수 있도록 하려는 것임을 공통적으로 보여주었다..우리나라도 이러한 방향성을 고려하여 미래형 대입제도를 준비할 필요가 있으며, 이 세 개 국가들의 대입 개혁을 위한 추진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문제점들을 고려하며 대입 개혁을 장기적·종합적인 관점에서 준비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the university admission reform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Korea, which is preparing for the reform of the future-oriented university admission system. Methods: For this study, the cases of China, Japan, and France, which had driven university admission reforms recently, were examined and compare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oriented university admission. Results: The result firstly showed that all recent university admission reforms tried to change the subjects and item types of the national university admission exams in order to change them toward a direction that could foster creativity, think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which were core competencies of the future. Secondly, it was found that university admission evaluation methods were becoming more diversified as the concern was shifted from academic knowledge tests to holistic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Thirdly, efforts were made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edu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of university admission reforms for Korea as follows: First, the university admission should be reformed to enable universities to evaluate future-oriented competency and to make reliability of evaluation established. Second, Korean future-oriented university admission reform should be prepared from a long-term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

목차

Ⅰ. 서론
Ⅱ. 해외 대학 입시 개혁 사례
Ⅲ. 해외 대학입시 개혁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지은림(Chi, Eunlim). (2021).해외 대학입시 개혁의 특징 및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31 (6), 29-55

MLA

지은림(Chi, Eunlim). "해외 대학입시 개혁의 특징 및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31.6(2021): 29-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