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지구의 지가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
- 영문명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Land Prices in Cultural Zone
- 발행기관
- 한국집합건물법학회
- 저자명
- 임재현(Lim, Jae-Hyon) 정승영(Jeong, Seung-Young)
- 간행물 정보
- 『집합건물법학』제19집, 89~10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부동산과 문화컨테츠가 융복합된 문화지구의 지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는 패션 및 문화시설의 집적지로서 국내 및 해외에 알려진 서울시 신사동 가로수길의 지가와 거시 및 미시경제 변수를 사용하여 지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보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8년 이후 전국 지가의 추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승하는 비정상시계열이다. 2008년에는 금융위기 등의 충격으로 토지가격이 하락하였으나 신사동 가로수길의 평균 지가의 경우에는 2008년, 2010년에는 지가가 하락하였지만 전체적으로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둘째, 평균 지가와 시계열상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변수는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지가지수, 상업용부동산의 임대료, 주택담보대출금리이다. 특이한 점은 소비자물가지수, 상업용 부동산의 임대료, 부동산관리비는 지가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부동산시장에서 상가임대료와 부동산관리비가 증가할수록, 이자율이 감소할수록 문화융복합부동산의 지가는 증가함을 보였다. 셋째, 시차가 2인 경우, 가로수길 평균 지가는 신사동 평균 지가의 원인변수이다. 따라서, 주택담보대출이자율과 가로수길의 평균 지가에는 상호영향을 주는 관계이다. 넷째, 서울시 강남구 신사동 가로수길의 평균 지가는 방문객수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bout the factors that affecting the price of a Real estate-based Storytelling in Seoul using by the time series data at the individual, local, and national levels. This study adopts Vector auto-Regressive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ing the price of a real estate-based storytell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verage regional land price, the mortgage bond yield, and number of visitor variables are expected to have an influence on a real estate-based storytell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selective dependant variables representing location, real estate and capital market is derived. In summary, average regional land price, mortgage bond yield, number of visitor variables are chosen to be used in establishing the VAR model by testing the Granger-Sims causality. Using the VAR model for the price of a real estate-based storytelling, it is found that the number of visitors to a real estate-base storytelling be one of the important explanatory variabl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실증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