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scovery of Herbal Medicine Resources through Network Pharmacology Analysis Predicted to Be Useful for Tourette Syndrome
- 발행기관
- 턱관절균형의학회
- 저자명
- 이병호(Byoungho Lee) 조수인(Suin Cho)
- 간행물 정보
- 『턱관절균형의학회지』제10권 제1호, 12~20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ourette syndrome (TS) is a disease that occurs evenly in many social classes. Despite the long experience of drug treatment, the preference is low due to various side eff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herbal medicine resources through network pharmacology analysis predicted to be useful for Tourette syndrome. Methods: We use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ystems Pharmacology Database and Analysis Platform (TCMSP) to identify herbal medicines that can be used for TS by using network pharmacology research methods and to predict the mechanism of action. After evaluating compounds of each identified herb, molecular target proteins and mechanisms of action were analyzed, focusing on compounds that are likely to exhibit clinical activity in consideration of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these individual compounds. Results: Fifty nine ingredients such as atropine, veraguensin, and nuciferin among the compounds contained in 48 types of medicinal herbs such as Daturae Flos (洋金花), Salviae Radix (丹参), and Nelumbinis Plumula (蓮子心) act on the D(2) dopamine receptor, which is a protein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TS. It has been found that atropine, veraguensin, and nuciferin are highly likely to exhibit activity by acting on the G protein-coupled receptor signaling pathway. Conclusions: It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non-invasive treatment means such as FCST Yinyang Balancing Appliance with herbal therapy to bring about a significant therapeutic effect, and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a treatment that can replace drug therapy used in Western medicine.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3호 목차
- 朝鮮에서 現代까지 韓醫學 敎育 變遷에 대한 역사적 의미 고찰과 전망: 原典 교육을 중심으로
- 한문의서의 한글번역 연구 - 더 나은 번역을 위한 對譯語 선정에 대하여 『온열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