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과 전공의가 시행한 유리체내 주입술의 단기간 안전성 고찰
이용수 2
- 영문명
- Short-term Safety Evaluation of Resident-performed Intravitreal Injec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배영환(Young Hwan Bae) 김하경(Ha Kyoung Kim) 배소현(So Hyun Bae) 윤창기(Chang Ki Yoon) 마대중(Dae Joong Ma)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11, 1509~151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안과 전공의가 시행한 유리체내 주입술의 단기 안정성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8년 1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본원에서 안과 전공의 및 망막 전문의에게 베바시주맙, 라니비주맙, 애플리버셉트 및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유리체내 주입술을 처음으로 시행 받은 503명의 503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503안 중 안과 전공의가 211안(전공의군), 망막 전문의가 292안(망막 전문의군)에 유리체내 주입술을 시행하였다. 두 군 간의 주사 전 임상양상의 차이는 원인 질환의 빈도를 제외하고 관찰되지 않았다. 안압상승은 전공의군에서 2안(0.95%), 망막 전문의군에서 5안(1.71%) 발생하였으나,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막하 출혈은 전공의군에서 29안(13.74%), 망막 전문의군에서 32안(10.96%) 발생하였으나,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비감염성 안내염은 전공의군에서는 발생하지 않았고, 망막 전문의군에서 2안(0.68%) 발생하였으나,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감염성 안내염은 전공의군에서 2안(0.95%), 망막 전문의군에서 1안(0.34%) 발생하였으나,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두 군 모두에서 각막미란, 외상성 수정체 손상, 유리체출혈, 망막열공 및망막박리는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단기간의 안구 합병증의 발생 빈도를 평가하였을 때, 안과 전공의가 유리체내 주입술을 시행하여도 안전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short-term safety of resident-performed intravitreal injection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503 patients (503 eyes) treated for the first time in our hospital from January 2018 to October 2020 via intravitreal bevacizumab, ranibizumab, aflibercept, or triamcinolone acetonide injections by residents or retina specialists. In terms of short-term ophthalmic complications, patients were followed-up 1 day, 1 week, and 1 month after injection.
Results: A total of 503 eyes of 503 patients were included. Intravitreal injections were given to 211 and 292 eyes by residents (the resident group) and retina specialists (the retina specialist group), respectively. There were no between-group differences in baseline characteristics except in terms of the indications for injection. Intraocular pressure elevation >5 mmHg occurred in two eyes (0.95%) in the resident group and five (1.71%) in the retina specialist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ubconjunctival hemorrhage occurred in 29 eyes (13.74%) of the resident group and 32 eyes (10.96%) of the retina specialist group; again,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No case of noninfectious endophthalmitis occurred in the resident group but two (0.68%) cases occurred in the retina specialist group; again,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re were two (0.95%) cases of infectious endophthalmitis in the resident group and one (0.34%) case in the retina specialist group; again,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No corneal erosion, traumatic lens damage, vitreous hemorrhage, or retinal tearing or detachment were noted in either group.
Conclusions: Resident-performed intravitreal injections appear to be safe.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생혈관녹내장에서 발생한 친수성 아크릴 인공수정체혼탁의 임상양상
- 나이관련황변변성 환자들의 항산화 영양제 복용에 대한 설문조사
- 약시치료로 시력이 호전된 한 눈 굴절부등약시 환아의 입체시 평가
- 복합 세균각막염과 단일 세균각막염의 임상 비교 분석
- 정상안에서 우세안과 비우세안 사이의 시신경유두주위 빛간섭단층혈관조영 측정치의 대칭성
- 편측 상사근마비에서 상사시 각도에 따른 단일 하사근절제술의 치료 효과 및 유용성
- 나이관련황반변성과 당뇨황반부종에서 브루크막 개방 최소 시신경유두테 폭의 반복성
- 중등도 근시에서 라섹수술 받은 환자의 연령에 따른 단기 굴절 변화 비교
- 장기간 예방적 경구 항생제를 이용한 재발성 톡소플라즈마 망막염 치료
- 안과 전공의가 시행한 유리체내 주입술의 단기간 안전성 고찰
- 상안검뒷당김에 대한 필러주입술 이후 발생한 중심망막동맥폐쇄
-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사용한 피하 토실리주맙의 효과
- 섬유주절제술 후 발생한 Streptococcus Cristatus 원인의 지연성 안내염 1예
- 말기녹내장으로 처음 진단받은 환자의 진단 경로 및 임상양상 분석
- 혈청 갑상샘자극호르몬수용체 자가항체와 갑상샘눈병증의 중증도 및 활동성과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