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편측 상사근마비에서 상사시 각도에 따른 단일 하사근절제술의 치료 효과 및 유용성
이용수 2
- 영문명
- Effectiveness of Inferior Oblique Myectomy in Unilateral Superior Oblique Palsy Depending on Magnitude of Hyperdevia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수경(Sukyung Lee) 한진우(Jinu Han)한승한(Seung-han Han) 신우범(Woo Beom Shi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11, 1547~155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편측 상사근마비 환자에서 수술 전 상사시각에 따른 단일 하사근절제술의 유용성을 살펴본다.
대상과 방법: 편측 상사근마비 진단 하 일차적으로 단일 하사근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99명을 수술 전 상사시각에 따라 15 prism diopters (PD) 이하(그룹 1), 16 PD 이상 20 PD 이하(그룹 2), 20 PD 초과(그룹 3)로 분류하여 수술 전후 상사시각 및 머리기울임 호전 여부를 분석하였다. 수술 성공은 잔여 상사시각이 5 PD 이하이고 과교정되지 않았을 때로 정의하였으며, 수술 전 상사시각이 5 PD 이하였을 경우 수술 후 잔여 상사시각과 머리기울임 호전이 있으며 과교정되지 않았을 때로 정의하였다.
결과: 전체 99명 중 그룹 1, 2, 3은 각각 65명, 22명, 12명이었으며, 모든 그룹에서 수술 후 상사시각의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그룹 1에서 그룹 3으로 갈수록 상사시 교정 효과가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머리기울임은 각 그룹의 80.3%, 95.0%, 90.9%에서 호전되었다. 각 그룹의 수술 성공률은 각각 87.7%, 77.3%, 50.0%였고, 그룹 1과 2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그룹 1과 3 사이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수술 성공률과 머리기울임 호전, 과교정 등을 고려하였을 때, 수술 전 상사시각이 20 PD 이하인 편측 상사근마비 환자에서 단일 하사근절제술이 1차 수술로서 유용하다. 반면 수술 전 상사시각이 20 PD보다 큰 환자에서는 50%의 성공률을 보였으므로, 두 외안근의 동시 수술 혹은 단일 하사근절제술 시행 후 2차 수술의 필요성을 고려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surgical outcome and effectiveness of inferior oblique (IO) myectomy on unilateral superior oblique palsy (SOP) as a primary treatment.
Methods: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of 99 patients who had undergone IO myectomy due to SOP as a first-line treatment. Sixty-five patients with hyperdeviation of 15 prism diopters (PD) or less were categorized into group 1, 22 patients with hyperdeviation between 16 PD to 20 PD into group 2, and 12 patients with hyperdeviation higher than 20 PD into group 3. Preoperative hyperdeviation, postoperative hyperdeviation, and improvement of head tilting were then compared between the 3 groups. Surgery was determined to be successful when the post-op residual hyperdeviation is less than 5 PD, or when the improvement of hyperdeviation and head tilting was noted, for the patients who had preoperative deviation less than 5 PD, and without hypercorrection.
Results: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hyperdeviation, and the amount of correction was larger in group with larger preoperative hyperdeviation. 80.3%, 95.0%, and 90.9% of patients showed improvement of head tiling and success rate was 87.7%, 77.3%, and 50.0% in group 1, 2, and 3 respectively. Group 1 and 2, group 2 and 3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cess rate but only group 1 and 3 had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Considering success rate with improvement of head position, self-titrating and possibility of overcorrection, IO myectomy could be an effective option as a first-line surgical treatment for unilateral SOP with hyperdeviation of 20 PD or less.
However, due to a 50% success rate in patients with hyperdeviation larger than 20 PD, a secondary operation must be considered following IO myectomy, or a two-muscle procedure must be considered as a primary treatment.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생혈관녹내장에서 발생한 친수성 아크릴 인공수정체혼탁의 임상양상
- 나이관련황변변성 환자들의 항산화 영양제 복용에 대한 설문조사
- 약시치료로 시력이 호전된 한 눈 굴절부등약시 환아의 입체시 평가
- 복합 세균각막염과 단일 세균각막염의 임상 비교 분석
- 정상안에서 우세안과 비우세안 사이의 시신경유두주위 빛간섭단층혈관조영 측정치의 대칭성
- 편측 상사근마비에서 상사시 각도에 따른 단일 하사근절제술의 치료 효과 및 유용성
- 나이관련황반변성과 당뇨황반부종에서 브루크막 개방 최소 시신경유두테 폭의 반복성
- 중등도 근시에서 라섹수술 받은 환자의 연령에 따른 단기 굴절 변화 비교
- 장기간 예방적 경구 항생제를 이용한 재발성 톡소플라즈마 망막염 치료
- 안과 전공의가 시행한 유리체내 주입술의 단기간 안전성 고찰
- 상안검뒷당김에 대한 필러주입술 이후 발생한 중심망막동맥폐쇄
-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사용한 피하 토실리주맙의 효과
- 섬유주절제술 후 발생한 Streptococcus Cristatus 원인의 지연성 안내염 1예
- 말기녹내장으로 처음 진단받은 환자의 진단 경로 및 임상양상 분석
- 혈청 갑상샘자극호르몬수용체 자가항체와 갑상샘눈병증의 중증도 및 활동성과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