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적 상호작용 단원 구성 방향 고찰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on Unit Construction Method of Social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한철우(Han Cheol-woo) 최숙기(Choi Suk-ki)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23권 제4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0.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회적 상호작용은 현대 사회의 대인간 관계적 목적에 의해 반드시 요구되는 행위양상이다. 과거 개인간 관계적 목적의 의사소통이 친교적 의미로 한정적으로 작용하였다면 오늘날은 이와 다르게 보다 사회적으로 확대되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회적 화합과 갈등을 이끌 수 있는 이러한 의사소통 행위로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해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요구는 개정 교육과정에 와서 ‘사회적 상호작용’단원이 설정되면서 표면화되었다. 이에 개인간 관계적 목적을 넘어선 사회적 관계적 목적을 반영한 국어교육의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중학교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단원 설정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Social interacion is behavior aspects for impersonal relationship as social member in the current society. In the past, we have narrow impersonal relationship, but nowdays, the relationship has widen gradually. and effects of the widen relationship has influence on more people than ever. Social interactional behaviors have crucial role for society. The Role is that follows: first, social interaction give stability by resolving the social problems. second, the social conflict is solved by doing appropriate social interaction. So we have to educate this social interaction for social development, and to seek educational method for social interaction instruc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unit construction methods of social interaction in Korean textbook. Especially, the methods have to consider social interaction features, to reflect the current widen im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huge effect of social interaction in the current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사회적 상호작용 단원 설정의 필요성
Ⅲ. 사회적 상호작용 단원의 구성 방향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적 상호작용 단원 구성 방향 고찰
- 웹 기반 음악과 창작 학습이 창작 능력과 창작 학습 태도에 주는 영향
- 음향분석을 통한 한국 고등학생의 영어 마찰음 분석 연구
- 12학년 학생들의 조석에 관한 개념 분석
- 산-염기 전도도 적정 실험과 기체 분수 실험에서의 탐구과정 및 MBL 활용에 대한 사례 비교 연구
- Hands-on을 강조한 화학 실험 활동 자료의 개발과 적용
- 과학사적 관점으로 분석한 물체의 운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념 연구
- 초등학생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정보교과서의 내용 구성 방안
- 도시 내 공간적 통학환경에 관한 비교 연구
- 『심청전』관련 설화의 전승 양상과 성격
- 그림동화와 영상그림동화에 대한 초등학생의 반응 양상 비교 연구
- 한국의 수학능력시험의 수리영역에 대하여
-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안 비교 연구
- 미래교육 환경에서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콘텐츠 유형 및 통합적 내용 구성 모델 개발
- 우리나라 4, 5, 6학년 학생들의 소수 개념 실태 분석
- 독일 라틴어 교육의 위상과 현황
-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조리실습 단원에 게재된 음식의 종류와 양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