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ception Comparison of Pre-teachers and Educators about Teacher Character According to Pre-teachers Variable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경령(Kyung Ryung Kim) 서은희(Eun Hee Seo)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30권 제2호, 25~5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4.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교사가 갖추어야 할 인성요소에 대해 전문가의 인식과 예비교사의인식이 서로 다른가를 밝히는 데 있다. 또한 교원양성기관 재학기간, 교육실습, 교육봉사 및 진로 요인에 따라 예비교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교직인성이 전문가의 인식과 다른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252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22인과 비교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실성, 책임감, 교사효능감, 교육적 신념, 소명의식 영역에서 예비교사와 전문가의 중요도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의 학년에 따라, 교육실습 이수 여부에따라, 교육봉사 이수 여부에 따라, 그리고 교직 장래희망에 따라 예비교사와 전문가의 교직인성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의 교직 인성 함양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 character with educators. A total of 252 pre-service teachers and 22 of educato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Data were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a M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perception of teacher character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nd educators in diligence,responsibility, teacher efficacy, educational belief, sense of duty. pre-service teachers s gradelevel, the experience of student teaching, the experience of educational services, and careerpath influenced th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 of teacher character betweenpre-service teachers and educator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pre-serviceteachers character were discussed.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developingand conducting character programs of pre-service teachers train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 사립 유치원 교사의 신경증적 경향성 및 성실성 성격변인과 직무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의 관계
- RtI 틀에 기반한 읽기부진아를 위한 직접교수의 중재 효과
- 영어환경과 동기에 따른 영어자료와 동화경험
- 예비교사의 변인별 중등교사의 인성 요소에 대한 전문가 및 예비교사의 인식비교
- 교사의 소명감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컨설팅장학 활성화를 위한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역할의 중요도
- 교직이수 대학생의 교직희망동기와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귀인유형의 조절효과
- 중학교 사례를 통해 본 중등통합프로그램 특징
- 예비과학교사들의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탐색
- EFL 어휘학습에서 의미적 정교화 과업의 효과
- 음악교사 간 협동이 교사 전문성 신장에 끼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공지능 시대, 민주시민에서 생태시민으로: ‘다름’의 관계적 의미와 생태전환교육의 함의
-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리터러시 기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구현 방안
- 대학 담임제도가 교원 이직에 미치는 영향: 중국 산시성(山西省)의 G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