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든’, ‘어떤’이 있는 명제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 분석
이용수 8
- 영문명
- An Analysis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a Proposition with ‘All’ or ‘Some’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신보미(Shin, Bomi) 김효경(Kim, Hyokyung)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31권 제2호, 243~26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경력 10년 내외의 교사 48명을 대상으로 ‘모든’, ‘어떤’이 있는 명제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지필 검사 문항 개발의 주요 관점을 추출하고 이에 비추어 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검사 문항을 활용하여 지필 검사를 실시한 다음, 검사 결과는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구체화된 주요 이슈를 분석틀로 삼아 그 특징을 기술하였다. 이로부터 ‘모든’, ‘어떤’이 있는 명제에 대한 ‘교과 내용 지식’ 및 ‘학생의 이해에 대한 지식’의 두 가지 측면에서 교사들이 보인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특징을 6가지로 요약하였다. 이러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특징은 명제 지도와 관련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실행에 의미있는 시사를 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a proposition with ‘all’ or ‘some’. In order to achieve the aim,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such a proposition and developed a questionnaire with reference to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about the previous researches. The questionnaire was given to 48 teachers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obtained from the written responses by the participants. This study also developed the framework descriptors for this analysis in the light of the examination about the previous researches and the data was interpreted in terms of this framework. The specific features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a proposition with ‘all’ or ‘some’ were categorized into six types as a result. This study raised several implications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가 생각하는 작은 생물에 대한 이미지, 연상 용어, 우리 생활과의 관계
- 예비체육교사의 기본적 심리욕구가 체조학습 내적동기 및 목표성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EFL 상황에서 듣기 전 활동에 의한 상위 인지전략과 듣기 이해
- 학교현장실습 전후 예비 생물교사의 과학 교수 지식과 과학 교수 효능감 비교
- 국어 수업에서 ‘거꾸로 교실’(Flipped Learning) 적용 방안 연구
- 중학생의 심리적 특성, 관계특성, 수업만족,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구조 분석: 2013년 서울소재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 교육실습생들이 교육실습과정에서 교직사회화로 인해 겪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협력 및 학교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초등교사의 자기성찰에 대한 체험분석
- ‘모든’, ‘어떤’이 있는 명제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 분석
- 자크 라캉 정신분석학의 도덕교육적 함의
- 과학중점고등학교 담당교사들의 반성적 실천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
- 초등학교 고학년의 사이버 괴롭힘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초등 및 중등 교원양성기관 교수의 연구 협력 실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