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 Evaluation Tool to Effectively Operate NCS Based College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동연(Kim, Dong-Yeon)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34권 제4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0.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NCS 기반 전문대학 교육과정을 학과에서 효과적으로 적용·운영하기 위한 평가 체계및 평가 도구 개발 연구로 국내·외 문헌 연구, 검증위원(44) 및 검토·자문위원(5), CVR, FGI, BEI, 양적 및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검토·자문위원에 의해 평가 구성 요소를 도출하여, 2차례 검증위원의 검증·수정 단계를 거쳐 NCS 기반 교육과정 평가 요소를 개발하였다. 또한 3차례 검토·자문위원의 논의 내용을 모두반영·수정하여 NCS 기반 교육과정 평가 체계를 개발하였다.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 평가 체계의 영역과 하위 내용을 검증위원 및 검토·자문위원을 대상으로 타당성을 실시한 결과 모두 .76 이상으로 우수한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셋째, 검증된 평가 체계에 근거하여 3차례 검토·자문위원의논의 내용을 모두 반영·수정하여 제1차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것을 검증위원을 대상으로 면접과 전자 우편을 통해 논의 내용을 모두 반영·수정하여 제2차(최종) NCS 기반 교육과정 평가 도구를 개발, 완성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system & evaluation tools to effectively apply and operate the NCS based college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In order to carry out this research efficiently, we used national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research, verification committee, review and consultant, CVR, FGI, BEI,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component was derived by the review and consultant members, and the evaluation elements of the NCS based curriculum were developed through the verification and revision steps of the two reviewers. In addition, we reviewed and revised the contents of the three consultations and advisory committee members to develop the NCS based curriculum evaluation system. Second, NCS based curriculum was secured excellent validity than .76 both conducted a feasibility regions and sub-systems to assess the contents of the target verification, advisory committees and review the results. Third, based on the validated evaluation system, the first evaluation tool was developed by reflecting and revising all three discussions and discussions of the advisors. The second(final) NCS based curriculum evaluation tool was developed and completed by reflecting and revising the contents of the discussion through the interview and e-mai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초등영어과 온라인 국제교류 순환학습 모형의 개발
- 예비 수학 교사의 테크놀로지 통합 교육과정 개발 단계별 TPACK의 특징 분석
- 영유아 교사의 스마트 교육 수용요인
- 도시 공간, 일상, 미술에서의 시간성을 중심으로 사회참여미술의 교육실천적 의미 고찰
- 남자 중학생 축구선수의 인프런트킥 동작 시 디딤발의 하지관절모멘트 분석
- 근전이와 원전이의 관계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매개효과
- 컴퓨팅 사고 기반 중등 문제해결 수업에서 데이터 활용 능력이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체육수업에서 심리적 욕구만족, 수업참여 및 신체활동 간의 관계에서 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 도덕교육에서 넛지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고찰
- NCS 기반 전문대학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평가 체계 및 평가 도구 개발
- 현실을 반영하는 인물시점과 감정이입 미학의 소설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ast Asian law studies Vol.2 No.3 Contents
- 博采众长:民国时期的比较婚姻法视域
- 新时代“枫桥经验”视域下民事案件诉前调解功能异化风险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