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산림골재 시료의 산성암석배수 발생 가능성 예측 평가
이용수 14
- 영문명
- Evaluation for Predicting Acid-forming Potential of Domestic Forest Aggregate Samples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임길재(Gil-Jae Yim) 장정윤(Jeong-Yun Jang) 조동완(Dong-Wan Cho) 지상우(Sangwoo Ji) 정영욱(Young Wook Cheong) 홍세선(Sei-Sun Hong) 이진영(Jin-Young Lee)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4권 5호, 561~57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내의 많은 지역에서 골재 채취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형 절토사면이나 다량의 절취된 암석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골재 채취를 위한 개발부지가 황화광물이 수반된 지층일 경우 산성암석배수(Acid Rock Drainage : ARD)가 발생하여 개발 부지 내와 주변지역에 환경오염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산림골재 시료를 대상으로한 연구결과 시료 대부분이 잠재적인 비산발생 시료로 분류되고 그중에 광주시, 고양시, 속초시의 일부 시료에서 잠재적인 산발생 시료로 분류되어지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향후 다량의 골재가 사용될 경우 골재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산림골재들은 사용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 발생 능력 시험을 통한 ARD 발생 예측으로, 향후 발생 될 수 있는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주변 환경오염 문제를 보다 완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Aggregate collection is taking place in many areas in Korea, resulting in large cut slopes or large amounts of cut rocks. If the development site for such aggregate collection is a stratum accompanied by sulfide minerals, Acid Rock Drainage (ARD) may occur, which may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development site and surrounding areas. As a result of the study on forest aggregate samples, most of the samples were classified as acid-forming potential samples, and among them, some samples from Gwangju, Goyang, and Sokcho were classified as potential acid-generating samples. This can be expected to affect the quality of aggregates when a large amount of aggregate is used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se forest aggregates need to be managed when they are used. By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ARD through the acid-generating ability test, it is expected that economic losses that may occur in the future can be reduced, and it is judged that the problem of surrounding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further alleviated.
목차
1. 서론
2. 연구 대상 지역
3. 연구 방법
4.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0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
-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골재 및 석재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연구
- 충청남도 금산군 일대 제4기 지질 및 골재자원 분포 특성
- GIS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2018년 골재의 수요-공급과 유통 해석
- 골재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부 석분의 평가와 그 활용 연구 동향
- 2019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III)
- 경기도 고양지역 육상 및 하천골재의 부존 특성
- 운반거리에 따른 국내 산림골재 개발의 지속 개발 방안
- 국내 산림골재 시료의 산성암석배수 발생 가능성 예측 평가
- 개발종료 채석장 부지를 활용한 해외 복합 개발 사례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