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GIS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2018년 골재의 수요-공급과 유통 해석
이용수 39
- 영문명
- GIS-based Network Analysis for the Understanding of Aggregate Resources Supply-demand and Distribution in 2018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이진영(Jin-Young Lee) 홍세선(Sei Sun Hong)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4권 5호, 515~53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골재의 생산과 공급에 대한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교통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골재 공급 운반거리분석, 골재 공급지역 분석, 골재 공급의 위치-할당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골재 수급 특성과 골재 유통현황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 골재 공급 기업을 중심으로 골재의 평균 운반거리가 평균 6 km이며, 모래의 경우 평균 7 km 자갈의 경우 평균 10 km 범위에서 수요지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비스 지역 분석 결과 수도권은 약 92%, 부산과 울산, 경남 85%, 대전, 세종과 충남이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골재의 수요-공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정량적으로 해석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골재 기본계획 수립에 필요한 골재 공급지역에 대한 광역적이고 정량적인 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입지-배분 시나리오에 의해 평가된 결과는 전국을 현재 골재를 소규모로 공급하는 700 여개의 기업들 보다 적은 200 개 미만의 대규모 채석량을 가진 기업을 통해 서비스 공급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골재의 유통 측면에서 골재 공급 서비스의 밀도가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은 적절한 시장형성을 위한 정책적인 접근이 필요하고, 전국의 골재 수급 분석을 통해 지역적 배분 및 재평가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더 나아가 골재 시장에 대한 수요-공급 네트워크 분석은 골재 산업뿐 아니라 관련 산업에 대한 중장기 정책 수립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supply location, demand location, and transportation network, aggregate supply-demand characteristics and aggregate distribution status were analyzed from the results of the closest distance, service areas, and location-allocation scenarios using GIS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transport distance of aggregates from the supplier was 6 km on average, the average range of 7 km for sand, and 10 km for gravel was found to reach the destination. In particular, the simulated service area covers about 92% in Seoul-Gyeonggi Province, 85% in Busan-Ulsan-Gyeongnam Province, and more than 90% in Daejeon-Sejong-Chungnam Province. These results have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quantitatively interpreting primary data on aggregate supply-demand. Furthermore,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a wide-area quantitative analysis of aggregate supply regions necessary for establishing a basic aggregate plan. The results also evaluated by the site-allocation scenario show that aggregate supply may be possible through companies less than 200 with large-amounts quarries, which is the 700 companies currently supplying small amounts of aggregates on the country. Therefore, in terms of distribution of aggregates, a policy approach is needed to form an appropriate market for regions with high and low density of aggregate supply services, and the necessity of regional distribution and re-evaluation is suggested through an aggregate supply analysis demand across the country. Furthermore, in analyzing the supply-demand network for the aggregate market,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establish long-term policies for the aggregate industry and related industrie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토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0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
-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골재 및 석재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연구
- 충청남도 금산군 일대 제4기 지질 및 골재자원 분포 특성
- GIS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2018년 골재의 수요-공급과 유통 해석
- 골재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부 석분의 평가와 그 활용 연구 동향
- 2019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III)
- 경기도 고양지역 육상 및 하천골재의 부존 특성
- 운반거리에 따른 국내 산림골재 개발의 지속 개발 방안
- 국내 산림골재 시료의 산성암석배수 발생 가능성 예측 평가
- 개발종료 채석장 부지를 활용한 해외 복합 개발 사례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