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HLA-B27 연관 앞포도막염의 형광안저혈관조영술 소견과 포도막염 재발과의 관련성
이용수 14
- 영문명
- Fluorescein Angiographic Findings and Recurrence of Human Leukocyte Antigen-B27-Associated Anterior Uveiti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종섭(Jong Sub Lee) 류소정(So Jung Ryu) 이병로(Byung Ro Lee) 안성준(Seong Joon Ah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10, 1364~1369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HLA-B27 연관 앞포도막염의 형광안저혈관조영술 소견과 재발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대상과 방법: 최초로 진단 받고 치료를 시작한 HLA-B27 연관 앞포도막염 환자 중 형광안저혈관조영술을 시행한 56명(56안)의 의무기록을 후항적으로 검토하였다. 형광안저혈관조영술상 시신경유두누출, 주변부혈관누출 유무와 초진 시 전방염증의 정도, 1년 내 재발과의 관련성, 재발까지의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총 56명(56안)의 환자 중 시신경유두누출이 발견된 경우는 23명(41.1%), 주변부혈관누출이 발견된 경우는 36명(64.3%)이었다. 시신경유두누출(p=0.841) 혹은 주변부혈관누출(p=0.775)과 전방염증의 정도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시신경유두누출이 있는 군의 1년 내 재발은 14명(60.9%), 없는 군의 1년 내 재발은 11명(33.3%)으로 두 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1). 반면 주변부혈관누출이 있는 군의 1년 내 재발은 19명(52.8%), 없는 군의 1년 내 재발은 8명(40.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602). 하지만 첫 재발까지의 기간에 대해 나이(p=0.772), 전방염증 정도(p=0.841), 시신경유두누출(p=0.108), 전신 스테로이드 사용 여부(p=0.321)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HLA-B27 연관 앞포도막염에서 형광안저혈관조영술상 누출과 1년 내 재발 여부 및 재발까지의 기간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시신경유두누출이 있는 경우 1년간 면밀한 경과 관찰을 통해 재발 여부를 확인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associations of fluorescein angiographic findings with recurrence of human leukocyte antigen (HLA)-B27-associated anterior uveitis. Methods: Medical records of 56 eyes of 56 patients with first-onset, treatment-naive HLA-B27-associated anterior uveitis who performed fluorescein angiography was analyzed. We recorded the fluorescein angiographic findings of optic disc and peripheral vascular leakage and anterior chamber inflammation at the first visit. The 1-year recurrences and times to the first recurrences and the associations between them were investigated. Results: Fluorescein angiography revealed optic disc leakage in 23 patients (41.1%) and peripheral vascular leakage in 36 (64.3%). We found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anterior chamber inflammation grade and either optic disc (p = 0.841) or peripheral vascular (p = 0.775) leakage. The 1-year recurrence rate in the optic disc leakage-positiv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leakage-negative group (14 patients, 60.9% vs. 11 patients, 33.3%) (p = 0.041), but peripheral vascular leakage statu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recurrence rate (19 leakage-positive patients, 52.8% vs. 8 leakage-negative patients, 40.0%) (p = 0.602). The time to first recurrence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p = 0.772), anterior chamber inflammation (p = 0.841), optic disc leakage (p = 0.108), or systemic corticosteroid use (p = 0.321). Conclusions: We sought correlations between angiographic leakage in patients with HLA-B27-associated anterior uveitis, and the 1-year recurrence rate and the time to first recurrence. Careful follow-up for at least 1 year after initial diagnosis is essential to monitor possible recurrence in patients with optic disc leakage. J Korean Ophthalmol Soc 2021;62(10):1364-1369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인 안와 악성종양 환자에서 안와내용적출술 후 임상 결과
- 정상안압녹내장에서 브리모니딘-티몰롤 다회용 점안제와 일회용 점안제의 효과 및 안정성 분석
- 갑상샘눈병증에서 갑상샘자극항체 수치 변화에 따른 외안근 두께 변화의 상관관계 분석
- 단독 안와하벽골절 환자의 안와 전산화단층촬영 소견에 따른 복시 양상 및 수술 후 복시 경과
- HLA-B27 연관 앞포도막염의 형광안저혈관조영술 소견과 포도막염 재발과의 관련성
- 다양한 이식편을 이용한 공막연화증 치료의 장기간 임상 결과
- 조영증강 안와 전산화단층촬영 후 자연 호전된 목동맥해면굴샛길
-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이용한 단안 정상안압녹내장에서의 망막모세혈관 분석
- 결절맥락막혈관병증에서 또아리정맥 울혈 정도에 따른 유리체강 내 애플리버셉트 단독 치료 효과
- 장기간 스테로이드 사용 환자에게서 발생한 내인안내염의 임상양상과 예후
- 난치성 지속각막상피결손에서 양막추출물 점안액의 임상효과
- 증식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실리콘기름제거술 및 후낭절제술 후 발생한 급성 비감염성 안내염
- 직업군별 채용신체검사에서 안과규정에 대한 조사
- 경추수술 후 발생한 뒤허혈시신경병증 1예
- 조혈모세포 이식 후 Tacrolimus와 연관된 이식관련 혈전미세혈관병증 망막병증 2예
- 라식수술과 스마일수술 후 안압의 변화 및 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 급성 단독 눈운동 뇌신경마비 환자의 조기 뇌영상검사 결과 분석
-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엑소피알라 안내염
- 마이토마이신C를 병용한 아메드밸브삽입술에서 콜라겐 기질 삽입 여부에 따른 수술 성공률 비교
- 젠 스텐트 삽입술 후 발생한 스트렙토코커스 인판타리우스 안내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Emerging role of circular RNAs in diabetic retinopathy
- Current view on the etiopathogenesis of aplastic anemia
- Activation of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3 is required for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and epidermal barrier form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