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삼국시대 영남지역 출토 소형방제경의 변화양상

이용수  441

영문명
Pattern of change of Yeongnam Excavated Small Size Imitated Bronze Mirror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강찬(Kang, Chan)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91호, 91~12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원삼국시대 영남에서 처음으로 출현하는 방제경은 한경의 모방경으로 보는 인식이 지배적이나 형태상 시공간적으로 한경과는 상이한 모습을 보이므로 방제경이라는 명칭과 다소 부합하지 않는다. 오히려 궐수문·와문를 기반으로한새로운 문양이 창출된 이후 자체적으로 변화하며, 시문된 문양은 현지에서 변형·제작된 공반 마구에서도 발견되므로같은 맥락상 재지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방제경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세부속성을 추출하여 형식을 설정하고, 시공간별 특징을 살펴보았다. 방제경은 크기·주연폭·문양을 기준으로 9개의 형식으로 세분되며, 각 형식들은 크게 금호강 유역과 김해에서 집중출토된다. 양자는 변화과정에서 세부속성간 연관성이 확인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당시 지역별 출토 청동기 및 대외교류의 양상과 관련된다. 당시 영남에서는 철기가 청동기를 대체하면서 공반된 외래품들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금속기의 변화와 함께 대외교류의 주체가 금호강 유역에서 김해로 이동하면서 후한경과 방제경이 나타나며, 북부규슈와의 교류를 통해 왜계 방제경의 요소가 유입되어 변화한다. 즉 방제경은 청동기에서 철기로의 전환과 대외교류를 통해지역에 따라 단계별 변화의 궤를 같이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Imitated Bronze Mirror, which first appears in Yeongnam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s somewhat inconsistent with the name Imitated Bronze Mirror because the perception of Hankyung as an imitation of Hankyung is dominant, but in form and space is different from Hangyeong. Rather, it changes itself after a new pattern based on the bracken pattern was created, and the written pattern is also found in the locally modified and be accompanied by horses tool, so it is judged to have been Localization. In consideration of these factors, detailed attributes were extracted to understand the change pattern of Small Size Imitated Bronze Mirror, a new format was set,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time were examined. small size imitated bronze mirror is subdivided into nine types based on size, main width, and pattern, and each type is largely excavated from the Geumhogang River basin and Gimhae. The relationship between detailed attributes is confirmed in the process of change, which is related to the bronze and exchanges excavated by region at the time. At that time, in Yeongnam, as iron replaced the Bronze, the number of foreign products accompanying it gradually decreased. Along with the change in the metal phase, as the subject of external exchanges moves from the Geumhogang River basin to Gimhae, the Huhangyeong(後漢鏡) and imitated bronze mirror appear, and the elements of the Kyuchu style flow in and change through exchanges with the northern Kyushu. It is judged that the change in imitated bronze mirror was in line with the step-by-step change depending on the region through the transition from bronze to iron and external exchanges.

목차

I. 머리말
II. 소형방제경 출토 현황 검토
III. 자료의 형식학적 분석과 검토
IV. 시공간적 소형방제경 변화분석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찬(Kang, Chan). (2021).원삼국시대 영남지역 출토 소형방제경의 변화양상. 영남고고학, (91), 91-120

MLA

강찬(Kang, Chan). "원삼국시대 영남지역 출토 소형방제경의 변화양상." 영남고고학, .91(2021): 91-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