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로 인한 교수학습과정의 변화
이용수 687
- 영문명
- Change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n covid 19: Focused on the case of H Univers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황영아(Youngah Hwang) 정소미(So-Mi 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9호, 91~10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15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로 인해 촉발된 비대면 교육 상황에서 교수학습과정의 변화를 살펴보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하여 온라인 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공하는 대학 교수⋅학습 과정에 관한 설문조사(NAFET)에 참여한 H대학교의 2019년과 2020년 교원 응답 자료를 비교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카이제곱 검정,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시간활용을 비교한 결과, 2019학년도에 비해 2020학년도에 학부수업을 위한 준비시간과 학부수업 시간에 활용 한 시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방법을 비교한 결과, 2019학년도에 비해 2020학년도에 강의, 동영상 강의, 중간기말시험을 더 빈번히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방법을 비교한 결과, 2019학년도에 비해 2020학년도에 동료 학생들 간의 평가와 수업참여도에 대한 평가가 더 적게 실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별 중간기말보고서와 팀 프로젝트 결과보고서에 대한 평가는 2019학년도와 2020학년도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학생 간 상호작용 내용을 비교한 결과, 진로 및 취업에 대한 상호작용은 2019학년도에 비해 늘어난 반면, 기타 주제에 대한 상호작용은 2019학년도에 2020학년도에 비해 적게 실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에서 교수자가 수행하는 수업 준비, 교수방법, 평가, 상호작용 등 교육 활동을 중심으로 코로나19로 인한 대학 교육에서 교수자의 전반적인 교육 활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로 인한 대학 교육의 변화를 교수자의 교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n the online education situation by Corona 19, and to find ways to improve onlin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rona era.
Methods For this purpose,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2019 and 2020 teachers response data from H University, which participated in a survey on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courses (NAFET) provid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ime usage, it was found that the preparation time for undergraduate classes and the amount of time used for undergraduate classes in 2020 were more than those in 2019.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eaching methods, it was found that lectures, video lectures, and midterm exams were used more frequently in 2020 than in 2019.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valuation methods, it was found that evaluation among fellow students and evaluation of class participation was less conducted in 2020 than in 2019, and evaluation of individual mid-term report and team project result repor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2019 and 2020 school years.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s on career and employment increased compared to the 2019 school year, while the interactions on other topics were less conducted in 2019 than in 2020.
Conclusion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changes in university education caused by Corona 19 with a focus on the role of profess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이 지각한 창의적 학교 환경과 시간사용만족도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복교한 학업중단 청소년의 최초 학업중단 사유에 따른 부모애착, 또래애착, 우울의 구조적 관계
- 비디오 자기모델링 중재가 특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 학생의 바리스타 직무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저경력 생활과학교실 강사들이 수업 계획 및 운영 과정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한 인식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교수학습과정의 변화
-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상담자 상담경력에 따른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 상담목표설정 구체성, 상담자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관계 중심의 생태학적 접근
- 초등학생의 교우관계, 교사관계 발달궤적 연구
- 학업스트레스 변화가 무동기 변화에 미치는 종단적 관계
- 초등학교 아동의 전반적 자아존중감 변화양상과 관련 변인 탐색
- 학교전문상담사의 경험과 성장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 학교운동부 운영실태와 운영방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대학 신입생 프로그램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2015개정 초등 6학년 영어교과서 대화문에 나타난 성차별적 요소 분석
- 일본의 학교폭력 현황과 대책
- 0교시 체육 수업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주관성 연구
- 운동치료프로그램이 소외계층 아동의 자아탄력과 자아통제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적용한 고교 무상교육 정책 분석
- 정서표현 양가성이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 지적장애 특수학교의 원격수업에 대한 학부모의 지원요구 탐색
- 임상의사결정능력과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소진의 조절효과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19호 목차
-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의 초등 사회과 교과교육적 접근
-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 단절 및 거절 도식과 대인관계만족,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 대학에서의 전공능력 도출 모형 개발 및 타당성 검증
- 온라인 수업의 시험 운영전략 도출을 위한 사례 연구
- 금융소비자교육 연구에 나타난 토픽 분석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금융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논의기반 탐구(ABI) 과학 수업의 단계별 의의와 실천 방향 탐색
-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초기 성인기 생활만족도의 관계
- 아버지의 양육참여, 부모역할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SNS중독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와 중학교 체육 교과서의 축구 활동 내용 분석
- 역량교육 실천에 있어서의 고등학교 교사 역할 탐색
- 성인학습자의 대학평생교육 중도탈락 의사에 미치는 요인 분석
- 병렬말뭉치에서 중국어 ‘在’의 한국어 대응 양상 연구
- 생명과학Ⅰ유전 단원 연계 장애이해교육이 고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기반 적정기술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
- 역량중심 체육교육과정 기반 여고생 건강관리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미 탐색
- 역량강화를 위한 메이커 교육 활성화 사례 연구
-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갈등해결유형의 조절효과
- 현직 초임 경력 체육교사들의 축구 내용지식 탐색
- 입학전형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 종단연구
- 대학생 영어학습자의 어휘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대학영어 교과연계 비교과 어휘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 시선 추적 장치를 활용한 초등학생들의 설명하는 글 요약하기 양상 분석
- 한국 간호사의 문화역량 개념분석
- 온라인 실시간 수업에서 플립드 러닝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효능감, 문제해결력, 학습몰입,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 영유아 대상 TV 캐릭터 놀잇감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체육과 수업 목표 분석
- 경남 고성군 상족암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여대생의 자기주도성이 회복탄력성 및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고학년의 그릿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 디지털 시민성에 대한 사회과 교육적 함의
- NCS 기반 내선공사 실무과목에 대한 교사인식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 국내 군상담 연구 동향
- 팬데믹 상황에서의 대학 원격강의 운영 실태 및 우수 강의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