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강희제의 제1차 대(對) 준가르 몽골 친정 과정 및 영향
이용수 98
- 영문명
- The Process and Influence from K’anghsi on the First personal rule of Jungar Monggol
- 발행기관
- 한국몽골학회
- 저자명
- 조병학(Cho Byoung Hak)
- 간행물 정보
- 『몽골학』제34호, 109~13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paration and the process of the first expedition to Monggol by Emperor K anghsi in 1696 may help understanding military tactics, strategies and viewpoint to foreign countries of the Qing Dynasty of Emperor Yungcheng and Emperor Ch ienlung. The first ruling of Monggol by K anghsi for 98 days marked fortunate victory at the Joo Modo battle but this led inevitable changes in the policies against Juungar Monggol due to difficult supplies in long-distance meadows and unfavorable geographic conditions. It was impossible to fight against Mongol troops by traveling long distances without solving supply and communication issues and it was assumed that the lessons from the conditions let Yungcheng and Ch ienlung establish military cities including Barkul, Hami and Uliyasutai for supply hubs. Then, Ch ienlung conquered Xinjiang and migrated races in the northeast region including Chakhar Monggol, Sibe and Daghur to reclaim garrison farms, build pasturages to protect the region and manage it through the military posts. These are the policies against invasions from the northwest region and may be considered to b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ruling of Monggol by K anghsi.
목차
1. 서론
2. 전시군비항목
3. 강희제의 제1차 몽골 친정 준비
4. 강희제의 제1차 준가르 몽골 친정 행군 루트
5. 친정(親征)의 영향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강희제의 제1차 대(對) 준가르 몽골 친정 과정 및 영향
- 현대 몽골어 보조동사의 특성과 분류
- 東明(T’umen) 루트
- 몽골경제의 성장과 한·몽 경제협력관계의 재정립 방향
- 유목문화와 말(馬)
- 몽골지역에 전승되는 고대 한민족관련 기원설화에 대하여
- 인적자본 부문에 대한 한국과 몽골의 경제협력방안 연구
- Dravidian and Altaic: implications of the established parallels
- 쿠빌라이 정부의 오르톡 정책과 해상무역의 발전
- 몽골 영웅서사시 <장가르>의 기원 문제
- 21세기 한·몽 사회문화 교류의 활성화 방안과 전망
- 한국, 몽골, 북한 간의 사회문화 교류에 있어서 몽골의 역할 분석
- <단군신화>와 <게세르칸>서사시의 비교 연구와 쟁점
- 동·서 올로스 반란에 대한 쿠빌라이의 대응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문화·경영·기술 제5권 제1호 목차
- 『삼체(三体)』의 이데올로기:원작과 넷플릭스 드라마 속 인물 비교를 중심으로
- 영웅의 교육적 수용을 위한 청소년 비행과 영웅적 행동의 관계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