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비자정보 혼란 유형 분류와 예측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199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Consumer Information Confusion Type Classification and Predictive Factors: Focused on Online Information Search*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저자명
- 박명숙(Park, Myungsook) 최경숙(Choi, Kyoungsook)
- 간행물 정보
- 『소비문화연구』제24권 제3호, 95~11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정보탐색을 중심으로 소비자정보 혼란의 유형을 분류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정보탐색 가치(실용적 가치, 탐색적 가치), 소비자정보 원천(마케터 주도적 원천, 중립적 원천, 소비자 주도적 원천), 소비자정보 리터러시(과업 정의, 정보탐색, 정보 활용, 정보 종합․평가)를 중심으로 소비자정보 혼란 유형화 집단별 예측 요인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정보탐색 시 소비자정보 혼란은 과부하 혼란과 불신 혼란으로 개념화되었으며, 이 두 개념을 중심으로 소비자정보 혼란을 유형화한 결과, 과부하 혼란과 불신 혼란이 모두 높은 혼란집단(집단 1: 35.0%), 과부하 혼란과 불신 혼란이 보통 수준을 보인 중간 혼란집단(집단 2: 39.1%), 과부하 혼란과 불신 혼란이 모두 낮은 혼란집단(집단 3: 25.9%) 세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소비자정보 혼란 유형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성별과 월 소득 변수가 소비자정보 혼란 유형별 군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군집유형에 대한 예측 요인을 중간 혼란집단(집단 2)과 비교해 분석한 결과, 쾌락적 가치, 실용적 가치, 마케터 주도적 원천, 소비자 주도적 원천, 과업 정의, 정보 활용은 높은 혼란집단(집단 1)으로 속할 가능성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실용적 가치, 중립적 원천, 과업 정의는 중간 혼란집단(집단 2)과 비교해 낮은 혼란집단(집단 3)으로 속할 가능성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적 가치와 과업 정의는 높은 혼란집단(집단 1)과 낮은 혼란집단(집단 3)에 속할 가능성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consumer types by consumer information confusion on online information search and to demonstrate predictive facto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ormation search value, consumer information sources, an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for each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concept of consumer information confusion was divided into overload confusion and distrust confusion, the final model yielded three latent classes of overload confusion and distrust confusion. The three groups included 1) a high confusion group (group 1: 35.0%) with high levels of overload confusion and distrust confusion, 2) a medium confusion group (group 2: 39.1%) with middle levels of overload confusion and distrust confusion, and 3) a low confusion group (group 3: 25.9%) with low levels of overload confusion and distrust confusion. Second, analyzing the difference in classified type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 found gender and monthly incom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for all three groups. Third, factors affecting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high confusion group (group 1) compared to the medium confusion group (group 2) were hedonic value, utilitarian value, marketer-oriented sources, consumer-oriented sources, task definition, and use of information. Compared to the medium confusion group (group 2), men, utilitarian value, neutral sources, and task definition was found to affect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low confusion group (group 3). Utilitarian value and task definition were revealed as factors that increased the potential for inclusion in the high and low confusion group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친환경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의 사회심리적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 Consumer Gratitude and Reciprocation Toward Self-Sacrificial Environmental CSR in Fashion Markets: Understanding the Moderation Effects of Incremental Theorist and Collectivist Beliefs
- P2P(개인간) 차량공유 서비스 잠재 소비자 특성 및 이용의사 영향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시니어의 문화예술 소비 다양성이 여가생활 만족, 건강 인식, 행복에 미치는 영향
- 중국 OTT 구독서비스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글로벌 패션 브랜드의 인스타그램 광고 이미지 특성 분석
- 소비자정보 혼란 유형 분류와 예측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불안정애착 및 정서인식이 게임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