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작은 교회를 위한 기독교교육
이용수 22
- 영문명
- Christian Education for the Small Membership Church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유재덕(Jae Deog Yu)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30집, 51~8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작은 교회는 숫자에 있어서는 여전히 다수를 점유하고 있지만, 목회 현장이나 신학적 차원에서 작은 교회를 위한 지원과 관심이 충분하지 않은 게 현실이다. 1970∼80년대를 주도하던 성장지향 패러다임을 여전히 고수하는 교단들은 작은 교회의 목회자들을 위한 연장교육이나 재교육을 통한 목회지도력의 지속적인 혁신보다 복지 차원의 재정후원이나 단발적인 지원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비 목회자들을 위한 신학교육의 상황 역시 크게 다르지 않아서 졸업생 대부분이 작은 교회에서 목회자로 활동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신학대학원의 교육과정에 작은 교회의 목회를 위한 과목들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있다. 현재 작은 교회가 직면하고 있는 위기에 주목하면서 기독교교육학적 차원에서 해결의 단서를 확인하는 한편, 작은 교회를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는 이 글은 일차적으로 작은 교회의 정의와 성격에 관한 논의를 살펴본다. 계속해서 최근의 작은 교회들의 유형들을 차례대로 정리하고 나서 작은 교회의 교육적 특징과 작은 교회를 위한 기독교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는다.
영문 초록
Most churches in South Korea are small membership churches. More than 90% churches have an average worship attendance of less than 100-200 and more than half have an average worship attendance of less than 100. Small membership churche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⑴ survival-oriented churches, ⑵ small membership-oriented churches, ⑶ theological-oriented churches. Small membership churches at large are facing a crisis of immense proportions. Many of these churches are in a similar position-the attendance has dropped over the years, the congregation has aged, the facility needs maintenance, young people have moved away and finances are tight. Small churches, in short, struggle for membership, for money, and for survival. In this article, various definitions and solutions to solve a lot of problems faced with small churches are reviewed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small membership church. This article begins with an overview of basic problems surrounding current discussion of the small membership church. Next, three types of small church are explored. Finally, several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small churches(the story, the third place, and the laity) and implic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in the small membership church a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작은 교회의 정의와 기준
Ⅲ. 작은 교회의 최근 유형들
Ⅳ. 작은 교회의 교육적 특징
Ⅴ. 작은 교회를 위한 기독교교육의 설계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 시민교육과 기독교교육의 융합 방안
- 지식기반 정보사회에서 교회교육행정의 변화를 위한 과제
- 북한 소학교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김일성 부자의 우상화 개념과 서술에 관한 연구
- 부모의 관계적 기독교 영성과 그들의 자녀 양육 방식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주 5일 수업제와 기독교교육
- 청년영성교육을 위한 교회의 과제
- 작은 교회를 위한 기독교교육
- 청소년 교육에 있어서 성만찬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주 5일제에 따른 주말교회학교 유아생태교육프로그램 개발
- 학교상담현장에서의 위기유형분류와 기독교 가정교육(사역)적 접근
- 칼빈에게 있어서 학교교육
- 멀티미디어 환경과 기독교교육의 대처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