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리포좀 제제 의약품 개발 동향
이용수 502
- 영문명
- Recent Advances in Liposomal Drug Product Development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김재천(Jae Cheon Kim) 나동희(Dong Hee Na)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65권 제4호(2021년), 246~257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Liposomes are spherical vesicles composed of a bilayer (uni-lamellar) and/or a concentric series of multiple bilayer (multi-lamellar) separated by aqueous compartments formed by amphipathic molecules, such as phospholipids. Liposomes deliver drugs via encapsulation in inner aqueous or lipid compartments and have advantages such as control of drug release and distribution, alleviation of toxicity, and drug targeting. Since the launch of the first liposomal drug Doxil??, a variety of products using a liposomal drug delivery system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Recently, several drug candidates developed with sophisticated and diverse technologies have been undergoing clinical trials. In this review, the pharmaceutical characteristics of approved liposomal drugs are overviewed, and the recent advances in liposome technology through candidates in clinical trials are highlighted.
목차
서 론(Introduction)
리포좀 제제 의약품 현황(Liposomal Drug Products)
리포좀 제제 의약품 개발 동향(Liposomal Drugs under Clinical Development)
고 찰(Discussion)
결 론(Conclusion)
감사의 말씀(Acknowledgment)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오비타 3균의 장 건강 유용성과 배합의의에 대한 고찰
- 우리나라 프로톤펌프저해제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 기능성 식품의 활성성분 함량에 따른 기능성 보고 모델 구축
- 피리다진계 항당뇨 화합물의 합성 및 평가
- 초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이중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혈청 여지 중 5종 오메가 지방산의 동시분석
- Korean Women’s Knowledge Level and Social Perception toward Oral Contraceptives and Perspectives on Pharmacy Visits
- 국내 제약사의 QbD 제도 도입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조사분석
- 카나비노이드 수용체 활성화 및 TRPV1 억제를 통한 arachidonoyl-serotonin (AA-5-HT)의 진통 효과
- 흑색종에서 칼슘 채널 차단제에 의한 엑소좀 분비 억제를 통한 면역 관문 억제 효능 규명
- 리포좀 제제 의약품 개발 동향
- 계혈등 추출물이 급성 간 손상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 한국 노인의 우울증과 관련된 요인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수급자의 시설/병원 이행의향 영향 요인
-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을 저해하는 산업안전 유해요인 분석 -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