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mages and Doses According to Tube Orientation During Anterior-Posterior Axial Projection Examination of the Skull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정성훈(Sung-Hun Jeong) 유재현(Je-hyeon Yoo) 임청환(Cheong-Hwan Lim)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44권 제4호, 301~30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kull has peripheral organs such as the crystalline lens and thyroid gland, which are highly radiosensitive, but the examination is performed without considering the uneven dose distribution due to the heel effect at the time of the current Skull Town’s examination. However,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xposure dose of surrounding organ tissues due to the difference in image density due to the heel effect and the non-uniformity of the dose. Using the cathode (-) and anode (+) set on the Tube to measure the scattered radiation along the Tube direction as a guide, change 30° and 37∘ in the cathode direction and 30∘ and 37∘ in the anode direction. It was given and investigated 5 times to obtain scattered radiation. image measurements were SNR, PSNR, RMSE, and MAE. Measurement results Measurement results of surrounding organ doses when the Tube direction was 30∘ and 37∘ The dose was low when the direction was cathodic in all organs (p<0.000). Both cathodes were higher in the image measurements(p<0.04). Continuous research may be needed for diagnostically valuable imaging and minimization of patient exposure dose.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흉부 전・후방향 검사 시 고관전압 및 산란선 후처리 소프트웨어 적용이 화질과 선량에 미치는 영향
- 방사선검사에 관한 기록 의무화의 필요성
- 초음파사와 방사선사의 인구학적 및 직무 특성과 직무 만족도의 비교분석
- 머리뼈 전-후 축 방향검사 시 Tube 방향설정에 따른 표면선량과 영상분석에 관한 연구
- ¹H-NMR Spectroscopy를 이용한 Non-ionic Monomer 조영제의 화학적 구조 분석
- 다발성 경화증 질환의 자기공명 T2 강조영상에서 단면 두께 변화에 따른 잡음 평가
- 국내 방사성동위원소(RI) 폐기물 핵종분석 다중화채널 구축 성과 분석 및 고찰
- 3D 프린팅 팬텀의 섬광카메라 적용 평가
- 전산화단층 모의치료장치의 정도관리 항목 제안
- HTO 형태 시료 조제 조건에 따른 삼중수소 계측에 미치는 영향 평가
- 차트 각도를 이용한 해상력 특성 평가
- The Study of Lipid Proton Composition Change in a Rat Model of High Fat Diet Induced Fatty Liver by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Analysis
- 초음파로 진단된 자궁근종의 위험인자 평가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한 중하전입자의 콘크리트 방사화 비교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