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종·대전·충청지역 간 아파트 가격과 거래량의 상호 영향관계 연구
이용수 35
- 영문명
- A Study on the Mutual Influence of Apartment Prices and Transaction Volume among Sejong, Daejeon, and Chungcheong Area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정책학회
- 저자명
- 정재호(Chung, Jae-Ho)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정책연구』제21집 제3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2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and rea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price and trading volume of the housing market among Sejong, Daejeon, and Chungna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applied monthly data from the Korea Appraisal Board from July 2012 to August 2020 as the actual apartment transaction price index and number of transactions in Daejeon, Sejong, and Chungna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VEC analys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long-term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regions shows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overall. It can be seen that during the analysis target period,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index and the number of transactions were generally simila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index in Daejeon shows a positive (+) effect on the region to be analyzed, but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index and the number of transactions in Sejong and Chungnam regions are negative (-). It has been shown to have an impact and play a competitive ro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Daejeon real transaction price index has a high impact on the real estate market in Daejeon, Sejong, and Chungnam regions, and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index in Daejeon, Sejong, and Chungnam regions has an effect on the Daejeon actual transaction price index. It was found to be the largest except for its own variable. In the case of the transaction status,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index of each region was found to have a large effect on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index of Sejong,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ormation of the actual transaction price index in the new city had an effect on the transaction statu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절차 및 기술통계분석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형 전시컨벤션(MICE) 시설의 입지요인에 대한 연구
- 오피스빌딩의 부동산자산관리개발자 선정요인에 관한 연구
- 창원시 아파트 미분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평택시 권역별 토지개발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아파트 리모델링 문제점 분석 및 개선 방안
- 통화정책과 대출규제가 지역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 지식산업센터 개발사업에 내재된 리스크 요인의 중요도에 관한 실증분석
- 주택임대차보호법의 갱신요구권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거주자의 불만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 공인중개사가 없는 중개제도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세종·대전·충청지역 간 아파트 가격과 거래량의 상호 영향관계 연구
- 경주지진이 연립·다세대주택의 매매가격에 미친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