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urvey Research on Legislators’ Activities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 발행기관
- 한국세계지역학회
- 저자명
- 가상준(Ka, Sangjoon)
- 간행물 정보
- 『세계지역연구논총』제25집 제3호, 53~7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회에 대한 국민들의 평가가 낮은 이유가 의원들의 활동이 재선을 위한 지역구활동에 치우쳐 있어 입법활동이 미비하기 때문이지 알아보고, 이와 함께 국민들이 평가하는 국회와 국회의원들이 평가하는 국회에 있어 커다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회의원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국회에 대한 평가와 의정활동에 대해 물어보았고 국민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국회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였다. 국회의원들은 예상과 달리 지역구보다는 국회활동에 많은 자원을 투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많은 자원의 투자가 입법활동으로 연결되고 있는지 알아볼 수는 없었다. 한편, 연구를 통해 국회의 주요 업무평가에 국민들과 국회의원 사이에 커다란 차이가 발생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국회의원들은 16대 국회와 비교해서 17대 국회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데 비해 국민들은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국회 업무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의원들이 평가하는 현실 속의 국회는 국민들의 평가하는 국회와 상당히 차이가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국민들이 생각하는 국회로 현실 속의 국회가 다가가기 위해서는 의원들의 많은 변화와 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을 의미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reasons why the electorate unfavorably evaluates the National Assembly. In particular, the study examines legislative activities of congressmen to see whether they only place an emphasis on local activities for reelection without paying attention to lawmaking activities. Likewise, the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electorate and legislators in evaluating the National assembly. Legislators answer unexpectedly that they invest more time and staff members in congressional matters compared with local activities. Unfortunately, there is no way to know whether their investment result in productive lawmaking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electorate is not satisfied with the roles of the National Assembly while legislators are satisfied with them. It indicates that the National Assembly in reality is different from the expectation of the electorate on the National Assembly. In addition, it implies that legislators are required to make a lot of efforts to meet the expectation of the electorate.
목차
Ⅰ. 서론
Ⅱ. 기존 연구 검토
Ⅲ. 가설 및 검증
Ⅳ. 함축적 의미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이익집단정치연구의 현황과 쟁점
- 설문조사를 통해 본 17대 국회의원들의 의정활동
- 일본의 동아시아외교
- 한국에 있어서 세계화에 대한 국가의 정치 경제적 대응
- 상호주의와 고이즈미 정권의 대북한 정책
- 이탈리아 권력구조 전환가능성과 시도
- 영국 의회-지방의회간 관계의 발전과 시사점
- 전망이론의 관점에서 본 남중국해 영토협상
- 지방정부간 경쟁 강화를 위한 대리경쟁 모형으로서의 지속가능성보고
- 한국 사회의 신뢰수준의 하락과 그 원인
- 9.11 이후 미국 공공외교의 변화
- 프랑스 이민자정책
- 한국의 국외 대테러 위기관리 체계와 정책
- 일본의 지방분권과 거버넌스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