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호서지역 역삼동·흔암리 유형 취락의 변천

이용수  116

영문명
Transition of Yeoksam-Dong·Heunam-Ri Assemblage Settlement in Hoseo Area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허의행(Heo, Ui-Haeng)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17집, 72~113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0.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호서지역 차령산맥 이북의 전기무문토기시대 취락유형의 일면을 살펴보았다. 총 4개의 취락구조 유형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고, 더 증가할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I 유형의 취락구조는 주거지의 경우 분산·독립되어 있고, 수혈유구의 발생은 보이지 않는다. 주거의 정착이 확립되어 가나 아직까지 계층화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II 유형의 취락구조는 주거지의 경우 밀집하는 모습을 보이며, 취락 내 새롭게 수혈유구가 주거지 주변에 등장한다. 이러한 취락의 모습은 주거 내 유력 개인주거의 발생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III 유형의 취락구조는 주거지의 경우 공지를 둘러싸고 배치되는 모습이 많아지며, 수혈유구는 군집되어 일정 지역에 설치된다. 대·중·소형 규모의 주거지가 뚜렷해지면서 취락 내 이를 관리하는 주거군 및 유력개인 주거가 더욱 확립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취락은 상기한 바와 같이 I ~ III 유형으로 점차 변화하면서 대·중·소 규모의 취락군으로 구분되고 각 주거유적 별 일정영역의 확보도 이루어지는 등, 취락의 구조화 및 안정화는 더욱 뚜렷해진다. 이러한 변화의 원인으로는 주거지의 정착에 따른 일정지역으로의 인구 집중현상과 타 취락유형과의 교류 등도 추정해 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Ⅱ. 취락의 검토
Ⅲ. 취락의 구조유형
Ⅳ. 취락의 변화와 관계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의행(Heo, Ui-Haeng). (2007).호서지역 역삼동·흔암리 유형 취락의 변천. 호서고고학, 17 , 72-113

MLA

허의행(Heo, Ui-Haeng). "호서지역 역삼동·흔암리 유형 취락의 변천." 호서고고학, 17.(2007): 72-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