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그릿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열의의 매개효과
이용수 854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in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Smartphone Dependence and Grit on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이영(Kim Yiyoung) 전지은(Jun Jieun) 박미란(Park Miran) 어윤경(Au Yunky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4호, 101~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그릿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열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1차년도 데이터의 중학교 1학년 2,500명이다. 자료처리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스마트폰 의존도는 학업성취도와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검증되었고, 그릿은 학업성취도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검증되었다. 둘째, 학업열의는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열의는 그릿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의존도, 그릿, 학업열의,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중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적 개입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reveals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in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smartphones dependence and grit on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0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data for the first year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smartphone dependence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gri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s Through the study results, it was discussed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increas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grit, academic enthusiasm, and academic achie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임 초등특수교사의 교직소진에 대한 질적연구
- 공사 여생도의 임관 후 +Gz 내성과 4학년 시절 신체조성, 체력의 관계
-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관계에서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
- 코로나 시대의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지각된 스트레스와 위생행위에 대한 연구
- 학습자의 비판적 문해력 향상을 위한 다문화교양교육 콘텐츠 분석
- 나의 첫 번째 환자와 실습용 교구 사이에서
- 대학생의 내재적⋅외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
- 유아 대상 원격교육 콘텐츠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한중대학생의 상실과 성장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재한 몽골 중⋅고등학생의 한국어 능력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대학핵심역량, 자기주도학습 간의 구조 관계 연구
-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분석
- 학령 후기 아동이 지각한 친구 및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통합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의 관계
- 포스트 코로나 19에 대비한 초⋅중등 특수교사의 원격수업에 대한 경험 및 요구
-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과 자아존중감이 원장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Korean EF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Learning Perception
- 동적 기하 환경에서 수학적 탐구 활동을 위한 ‘What-If-Not’ 전략의 활용
-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정신적 안녕감과 정신병리 차이 분석
- 원격학습 상황에서 대학몰입의 영향요인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인성, 자아탄력성 및 학과만족도가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미각 형용사 의미에 대한 인식 양상 및 교육 내용 연구
- 동음이의어 정의 분석을 통해 살펴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발화 특성
-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중단 위험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유아인성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대학생 맞춤형 진로교육 모형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 대학의 플립드러닝 수업 질 관리를 위한 인증기준 설계 연구
- 명상을 적용한 암 환자 영적 돌봄 단일 사례에 대한 해석현상학적 분석연구
- 어린이집 직무환경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 성인학습자의 중학문해과정 학습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자기조절능력과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 쌍방향 온라인 과학수업에서 교사의 클라우드 앱 활용 실태와 인식 조사
- 예비 유아숲지도사의 양성과정 경험에 대한 연구
- AI 기반 수학교육 관련 국외 연구의 논지 탐색
- 중학생의 환경요인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 성인초기 거부민감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험회피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한⋅중 사이버대학의 비교 연구
-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의 여가교육 운영 방향에 대한 교사 인식
- 보육교사 권리인식이 아동 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양가성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수업에서의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수업모형 개발
- 교사의 지지가 초등학생의 도움찾기 행동과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 신체활동에서 더닝-크루거 현상은 존재하는가
- 대학에서 ‘나를 위한 글쓰기’ 수업의 가능성과 의의 탐색
- 교사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발휘하는 실제기예 탐색-Schwab의 the practical을 중심으로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의 탐구 경향 분석
-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그릿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열의의 매개효과
- 중년여성의 학력콤플렉스 극복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온라인 수업에서의 교사화법 평가 연구
-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동향 분석
- 중도탈락한 축구선수의 고등학교 생활 이야기
- 포스트 팬데믹 시대, 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수업의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전문가 연계 학습자 주도 프로젝트 학습 설계전략 개발
- 의미이론 기반 중년기우울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LMP) 개발 연구
- 언택트 시대 비대면 국어 수업에 대한 중학교 학습자 반응 연구
- 내적 성패귀인, 목표설정수준, 과제비용 간 구조적 관계에 대한 학교급의 차이
- 학교 교육프로그램의 외주화 현상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