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성마비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 특성
이용수 1
- 영문명
-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al Trait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삼섭(Kim, Sam-Sup)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5권 제4호, 45~6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0.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뇌성마비 유아의 성, 연령 및 장애정도별 발달 특성과 이 변인들이 다중지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특수학교, 일반유치원 및 어린이집을 다니는 뇌성마비 유아 61명을 대상으로 다중지능발달검사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뇌성마비 유아의 다중지능은 신체지능과 음악지능이 상대적으로 높고, 논리지능과 언어지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뇌성마비 유아의 다중지능은 성차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뇌성마비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은, 음악지능과 대인관계지능, 개인이해지능의 경우 3세, 4세, 5세의 연령에 따른 발달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특수교육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뇌성마비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 특성을 밝히는 국내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연구의 결과는 뇌성마비 유아의 지적 능력 발달을 이해하고 지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 연구의 결과는 뇌성마비 유아의 다중지능 특성 및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상대적 강점과 약점을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강점을 이용하여 약점을 보완하는 조기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al trait by gender, age and disability level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se variables on their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had higher physical and musical intelligence, as lower logistic and linguistic intelligence than the others. Second, multiple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had a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hird, musical, interpersonal,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howed significant developmental trend by their age, 3-5. The special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d been attempted domestically for the first time to investigate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al trait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econd,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clues to understand and teach intellectual abilities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ird,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identify relative strength and weakness by analyzing trait and profile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provide preliminary data to plan early intervention education program that make up for their weakness intelligence with their strength intelligence.
목차
Ⅰ. 서 론
Ⅱ. 방 법
Ⅲ. 결 과
Ⅳ.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장애 성인의 통합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
- 장애·비장애 자녀를 가진 어머니의 자기효능감과 남편의 양육참여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전담교직원의 행정문화를 통한 대학 장애학생 인력지원에 대한 질적 연구
- 중도척수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장애인종합복지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지원센터 서비스 질과 서비스 만족관계
-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직무 기준 개발 연구
- 중도·중복장애아동 교육연구에 있어서 질적 연구 패러다임의 실천
- 지체 및 뇌성마비학생의 비상징적 의사소통행동 평가문항(AINC-PD)에 대한 요인 구조 확인
-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학습전략, 학업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비교
- 장애학적 관점에서의 특수교육 및 장애인복지 정책의 방향 재고
- 통합교육에 대한 우려와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 분석
- 뇌성마비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 특성
-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조음기관 훈련과 전기자극 치료의 병행 치료가 경직형 마비말장애 대상자의 호흡 및 조음 개선에 미치는 효과
-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이용한 장애인 복지차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가정과 연계한 긍정적 행동지원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식사행동에 미치는 효과
- 질적 지표에 근거한 보완·대체의사소통 관련 단일대상연구 문헌 분석
- 치료지원에 관한 지체장애학교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 장애학생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
- 발달장애아동의 감각통합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연구
- 중증·중복 뇌병변장애인의 생활지원 용품 사용실태 및 요구조사
- 특수학교 학교기업 운영 현황과 고용 촉진 방안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장애영유아 어린이집의 보육프로그램 운영 실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