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Fairness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 on Individuals’ Local Government Trust
- 발행기관
- 한국국정관리학회
- 저자명
- 서정욱 김동욱 김주경
- 간행물 정보
- 『한국국정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21년도 한국국정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공정성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인식이 지방 정부신뢰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실증적인 고찰을 시도하였다. 우선 본 연구는 공정성을 개인 차원의 공정성 인식과 기관 차원(중앙정부, 지방정부, 일선 행정기관) 공정성 인식으로 구분하여 공정성에 관한 시민의 인식과 삶의 만족도가 지방 정부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심을 두어 연구하였다. 아울러, 지방 정부신뢰 인식에 관한 영향 요인분석에 있어 지역 간(수도권과 비수도권)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실증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를 고려한 전체 모형에서는 본 연구에서 활용된 개인 차원의 분배 공정성, 기관에 관한 공정성 인식이 지방 정부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델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비수도권 모델과는 다르게 수도권에서는 중앙정부에 관한 공정성 인식이 지방 정부신뢰에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사회적 양극화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공정한 분배정책과 행정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체계화된 디지털 시스템 구축으로 불공정성 인식을 완화하여야 한다. 셋째, 시민의 선호와 요구를 바탕으로 시민의 삶에 관한 만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much the perception of fairness and life satisfaction affects local government trust in Korea. This research divides fairness into perception of fairness at the individual level and perception of fairness at the institutional level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front-line administrative agency) for our study. In addition, We divide the region into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metropolitan area, and try to empirically examine whether there are regional in the perception of trust of local governments. The result reveals that the fairness perception influence on individuals’ perception of local government trust in both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can areas. Unlike the non-metropolitan model,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the fairness perception to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trus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need for fair distribution policies and administrative services to prevent social polarization depeding upon the research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정책과 과학연구성과 간 영향관계 연구
- 쇠퇴도시와 주변지역 간 관계가 도시 쇠퇴성에 미치는 영향과 산업 다양성의 조절효과 연구
- 공정성 인식과 삶의 만족도가 지방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협력거버넌스와 성과의 상관관계
- 우리나라 비용추계제도 디커플링현상의 원인규명에 관한 연구
- Public Corruption and Infrastructure Investment: Evidence from U.S. States
- Why Improvements in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Reduce the Gender Gap in South Korea?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국가위기관리학회보 제14권 제2호 목차
- 기후 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거버넌스 비교 - 계층적 거버넌스에서 협력적 거버넌스로
- 협력적 비상 관리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협업 행정과 리더십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