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변혁적리더십의 성과에 관한 메타연구

이용수  4,193

영문명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erformance: Focusing on the Research in South K orea Over the Recent 10 Years
발행기관
리더십학회
저자명
김지영(Jiyoung Kim) 강원석(Wonseok Kang)
간행물 정보
『리더십연구』제12권 제2호, 43~7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사회의 많은 조직에 필요한 대표적인 리더십으로 변혁적리더십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변혁적리더십에 대한 실증연구와 문헌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축적된 연구와 이들의 데이터를 종합하고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변혁적리더십이 결과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제한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혁적리더십과 결과변인에 관한 실증연구들을 바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변인에 대한 변혁적리더십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변혁적리더십과 관련하여 수행된 1,151개의 연구 중에서 메타분석에 활용 가능한 151개의 연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변인을 심리성과·직무성과·조직성과로 범주화하여 변혁적리더십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리더십은 전체 결과변인에 큰 효과크기에 가까운 효과크기를 주는 것으로 도출되었다(.471). 둘째, 변혁적리더십은 심리성과(.475), 조직성과(.460), 직무성과(.427) 순으로 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 셋째, 변혁적리더십은 심리성과, 직무성과, 조직성과 범주에 속하는 결과변인에 큰 효과크기와 중간 효과크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실무적 및 학문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regarded as an important leadership in modern society. Accordingly, research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continuously increasing, but researches are insufficient in that it has not been comprehensively and quantitatively analyz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nduct a meta-analysis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utcome variables by synthesizing and quantitatively analyzing accumulated studies and their data. Out of 1,151 studies conducted in Korea in connection wi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ver the last 10 years, 151 research data used for meta-analysis. In this study, outcome variables were categorized into psychological performance,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large effect size on the overall outcome variable(.471). Seco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large effect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 performance(.475), organizational performance(.460), and job performance(.427). Third, it was found that all sub variable in psychological performance,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had a large effect size or a medium effect size. Based on this, prac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were deriv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영(Jiyoung Kim),강원석(Wonseok Kang). (2021).변혁적리더십의 성과에 관한 메타연구. 리더십연구, 12 (2), 43-71

MLA

김지영(Jiyoung Kim),강원석(Wonseok Kang). "변혁적리더십의 성과에 관한 메타연구." 리더십연구, 12.2(2021): 43-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