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전 신도시 일부 아파트지역 교통소음의 특성과 주민생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
-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Noise and Its Effects on Inhabitants Life at an Apartment Area in Taejon City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박찬호(Park, Chan-Ho) 장성실(Chang, Seong-Sil)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25권 제3호, 94~102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o estim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noise on inhabitants life in an apartment area at Taejon, noise levels and traffic volume of major roads were measured. 203 housewives were surveyed by questionaires including general factors, noise related factors and three items of life effects: subjective evaluations on the general environment, annoyance, and life disturbance due to environmental noise. At the boundary adjacent to the road with more traffic volume, noise level was higher; according to the time, the amount of noise level was in the morning, in the evening, at noon, and at night in order. Most of boundary noise levels were higher than those of recommended standard environmental noise levels in a residential area. The boundary noise level showed a very significant linear relationship with traffic volume of near roads. Noise level difference in the apartments adjacent to three roads was ranged 2.4~6.7dB between in windows open and close state. The apartments adjacent to 9 lane or 6 lane-road, which were protected by noise prevention wall and 20m or more distance from the roads, showed higher noise level at middle floors and high floors than those of low floors; but the buildings adjacent to 4 lane-road, with no protection, showed higher noise level at low and middle floors than those of high floors. Among 203 housewives, 120(59.1%)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86(73.2%) of them answered that the most serious environmental noise was traffic noise from near roads. Comparing traffic noise levels with those of before-migration, 67.0% participants found the environmental noise became louder. Fifty eight(49.5%) of the participants wanted noise protection wall and 15(25.9%) of them were willing to charge the fee. Less perception on the present noise comparing to those before-migration, less traffic volume, and lower noise levels in the apartments were related to higher scores of self-evaluation on the environment. Higher susceptibility on the present noise, areas with more traffic volume, higher boundary noise levels, and higher noise levels showed higher scores of annoyance on environmental noise and life disturbance. Considering above all things, it was suggested that traffic noise in this area was the major problem of environmental noise, and its effect was so serious that inhabitants needed some preventive measures for better life qual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is(tributyltin) oxide가 랫드의 면역 및 성호르몬 활성에 미치는 영향
-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공정에서의 흄 형성량에 관한 연구
- Dichlorvos와 methidathion의 생분해율의 측정
- 흡착제를 이용한 수중의 미량 이취물질 분석법 개발에 관한 연구
- 키토산의 분자량에 따른 랫드에서의 적용
- 순환식 반응기에서 TiO2 광촉매를 이용한 Chromium(VI)의 제거에 미치는 영향인자에 대한 연구
- 알루미늄의 전기분해를 이용한 오수 중의 인 제거
- J 정수장의 하절기 THMs 생성현황과 분말활성탄 처리에 의한 저감효과
- 수산물 가공 폐슬러지를 이용한 인산염인 제거
- A Survey of THMs Formation in J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Its Reduction by PAC Treatment during Summer
- 브롬이온을 함유한 상수 원수에 이산화염소 주입시 THM생성거동에 관한 연구
- 클로라민의 소독특성에 관한 연구
- 영양원 변화가 Kerosene 분해율 및 분해균주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볏짚의 혐기성소화시 소화가스 생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주요도로변 대기 중 니켈, 크롬, 구리 농도와 차종별 교통량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생물학적 폐수처리에서 인과 TOC 거동의 정량적인 해석
- 簡易上水道의 水質管理實態와 給水利用住民의 滿足度
- 대전 신도시 일부 아파트지역 교통소음의 특성과 주민생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청소년의 액상형 전자담배 흡연과 알레르기비염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국내 다양한 미소환경에서의 계절별 초미세먼지 및 오존 실내ㆍ외 농도 비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 안전한 화학제품 설계를 위한 딥러닝 기반 화학물질 기능 및 용도 예측모델 개발
- 한국 소방관의 직업성 소음 노출과 청력에 대한 문헌고찰(1992~2024)
- [편집인의 글] 2024년 숫자로 돌아본 한국환경보건학회지는, 그리고 앞으로의 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