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메타분석을 적용한 전국 7개 대도시의 대기오염과 일일사망발생의 상관성 연구(1998년~2001년)
이용수 11
- 영문명
- A Meta-Analysis of Air Pollution in Relation to Daily Mortality in Seven Major Cities of Korea, 1998-2001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조용성(Yong-Sung Cho) 이종태(Jong-Tae Lee) 손지영(Ji-Young Son) 김윤신(Yoon-Shi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32권 제4호, 304~315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performed to re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ambient air pollution and daily mortality in seven major cities of Korea using a method of meta-analysis with the data filed for the period 1998-2001. These cities account for half of the Korean population (about 23 million). The observed concentrations of carbon monoxide (CO, mean=1.08 ppm), ozone (O3, mean=33.97 ppb), particulate matter less than 10m (PM10, mean=57.11 g/m3), nitrogen dioxide (NO2, mean=25.09 ppb), and sulfur dioxide (SO2, mean=9.14 ppb) during the study period were at levels below Korea s current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Generalized additive models were applied to allow for the highly flexible fitting of seasonal and long-term time trends in air pollution as well as nonlinear associations with weather variables, such as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lso, we calculated a weighted mean as a meta-analysis summary of the estimates and its standard error. In city-specific analyses, an increase of 41.17 g/m3 (IQR) of PM10 corresponded to 1~12% more deaths, given constant weather conditions. Like most of air pollution epidemiologic studies, this meta-analysis cannot avoid fleeing from measurement misclassification since no personal measurement was taken. However, we can expect that a measurement bias be reduced in district-specific estimate since a monitoring station is better representative of air quality of the matched district. Significant heterogeneity was found for the effect of all pollutants. The estimated relative risks from meta-like analysis increased compared to those relative risks from pooled analysis. The similar results to those from the previous studies indicated existence of health effect of air pollution at current levels in many industrialized countries, including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요약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축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특성 및 평가
- 음식물류폐기물의 호기성 퇴비화에 있어서 팽화재 투입비에 따른 타가영양세균의 균락형성단위의 변화에 관한 연구
- 도심지역 노인복지시설 실내 환경에 대한 RF 전자파 노출량의 정성·정량 평가에 관한 연구
- 음용수에서 소독부산물과 이취미 유발물질의 끓임 효과
- 태양광/TiO2 반응기용 반사판 최적화에 관한 연구
- 가을철 대기환경 중 수용성 이온성분의 침적특성
- 메타분석을 적용한 전국 7개 대도시의 대기오염과 일일사망발생의 상관성 연구(1998년~2001년)
- 서울시내 어린이 놀이터 토양오염도 평가
- 서울시 일부 지하철역 내 분포하는 부유 세균 및 입자상 오염물질 평가
- 활성슬러지 구성 미생물에 의한 폴리오바이러스의 감소 효과
- 샌드위치 제조 사업장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 오염원 및 기상조건에 따른 울산지역의 고농도 대기오염 분포특성
- 온·습도에 따른 건축 내장재별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방출특성
- 새로운 染色廢水 色度 除去 白色腐朽菌의 分離 및 色度 除去 效果
- Efficiency Comparison between Chlorine and Chlorine Dioxide to Control Bacterial Regrowth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 달생탕이 랫드의 모체와 태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청소년의 액상형 전자담배 흡연과 알레르기비염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국내 다양한 미소환경에서의 계절별 초미세먼지 및 오존 실내ㆍ외 농도 비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 안전한 화학제품 설계를 위한 딥러닝 기반 화학물질 기능 및 용도 예측모델 개발
- 한국 소방관의 직업성 소음 노출과 청력에 대한 문헌고찰(1992~2024)
- [편집인의 글] 2024년 숫자로 돌아본 한국환경보건학회지는, 그리고 앞으로의 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