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내 공기 중 일부 알데하이드류에 대한 위해도 평가
이용수 15
- 영문명
- Risk Assesment of Aldehydes in Some Residential Indoor AirIncluded Atopy Patient s Homes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문경환(Kyong Whan Moon) 변상훈(Sang Hoon Byeon) 최달웅(Dal Woong Choi) 이은일(Eun II Lee) 오은하(Eun Ha Oh) 김영환(Young Wha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32권 제1호, 19~2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s of 15 aldehydes in air samples collected from 21 households including 9 atopy patient`s homes and to assess the extent of exposure and risk for an individual due to inhalation. Of all the aldehydes identified in both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were the most abundant aldehydes, which were occupied 60% and 17% of total amount, respectively. The geometric mean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in indoor air were 170.51.9 g/m3 and 47.3±1.5 g/m3, respectively. There exist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formaldehyde, acetaldehyde and other aldehydes. And the ratio of indoor and outdoor concentrations (I/O) exceeded 1.0 for almost every measured aldehydes except m-tolualdehyde... No associ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level of aldehydes and either housing characteristics or living habits in most of the samples with only a few exception. And the concentrations of all aldehydes indoor air between atopy patient`s homes and control homes were not significant(p>0.05).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exposures and risks were estimated by using the inhalation unit risk, mean concentrations and the 95th percentiles, and which were 2.610-3 and 1.110-4, respectively. The mean and the 95th percentile risk estimates were 25 times higher for formaldehyde than for acetaldehyde in hom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헤드스페이스-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에 의한 체모 중포름알데하이드 측정법 연구
- 실내 공기 중 일부 알데하이드류에 대한 위해도 평가
- 소나무 종별 대기 중 PCBs의 침착 특성
- 화학적 간발암모델에서 Bisphenol A 가 간암의 전암성 및 종양성병변에 미치는 영향
- 유가공 폐수의 활성슬러지 처리에서 벌킹 제어용 염소가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 활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시설의 표면 및 공기 중 납 농도 평가
- 철 석출장치에 의한 폐수 중의 인 제거 특성
- 미생물 코팅 담체를 이용한 하수의 질소·인 제거에 관한 연구
- 서부 경남지역 토마토 농장에서의 위생 미생물의 분포
- 생물활성탄을 이용한 절삭유로 오염된 지하수의 처리특성과 미생물군집구조 해석
- 중형폐기물 소각시설의 수은,납,비소,셀렌 배출특성
- 다중이용시설 내부에 분포하는 부유 진균의 입경별 농도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청소년의 액상형 전자담배 흡연과 알레르기비염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국내 다양한 미소환경에서의 계절별 초미세먼지 및 오존 실내ㆍ외 농도 비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 안전한 화학제품 설계를 위한 딥러닝 기반 화학물질 기능 및 용도 예측모델 개발
- 한국 소방관의 직업성 소음 노출과 청력에 대한 문헌고찰(1992~2024)
- [편집인의 글] 2024년 숫자로 돌아본 한국환경보건학회지는, 그리고 앞으로의 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