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ssessment of Formaldehyde Concentration i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of Schools in Incheon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Jeung, Yeon-Hee Choi, Sang-Jun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33권 제5호, 372~37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valuated formaldehyde concentration in classrooms and on roofs at 4 elementary schools, 3 middle schools and 3 high schools in Incheon City. These schools were chosen based on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s that included industrial site, landfill, railway, 8-lane road and harbor. Indoor concentration ranged between 4.65 and 56.25mg/m3, while that of outdoor concentration was 1.23~10.22mg/m3, both of which were below 100mg/m3, a formaldehyde criterion stipulated by the School Health Act. Indoor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outdoor concentration by 1.4~5.9 times,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door and outdoor formaldehyde concentrations (R=0.49). As for indoor concentration, multi-use practice rooms had an average 2.8 times higher than that of usual classrooms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Indoor formaldehyde concentr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onstruction year (R=0.55). The school close to the industrial complex had the highest ambient formaldehyde concentration, followed by the one near a landfill. The formaldehyde concentration in school in the vicinity of the industrial complex was twice or more than that of the school located other sit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crucial to consider surrounding environments in selecting school sites, as it can influence ambient air contamination, as well as using construction material that emit less formaldehyde, in order to protect the health of students, teachers and school staff.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4시간 복제 음식물 중의 Fe, Cu, Zn 함량: 유도결합플라즈마-원자발광분광법에 의한 정량분석
- 하수 방류수에서 대장균군의 검출방법의 비교
- 미세먼지가 울산지역 초등학생의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 유기성오니 직매립금지에 대한 수분함량의 영향 검토
- 우리나라 일부 여성의 카드뮴과 납 섭취량 및 노출경로 평가
- 제철소 근로자의 벤젠/톨루엔/크실렌 국소환경 측정을 이용한 총 노출 예측
- 익산지역에서 황사발생시 PM2.5, PM10 TSP의 농도 특성
- 유기산이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및 Listeria monocytogenes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 유류오염 토양에서 발생되는 VOCs 제거를 위한 분변토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기초연구
- 혈중수은 노출에 따른 일부 초등학생의 건강영향에 관한 연구
- 음식물류폐기물의 호기성 퇴비화에 있어서 목재세편의 투입비에 따른 곰팡이의 균락형성단위의 변화에 관한 연구
- 탄저균과 부루셀라균의 신속 검출법 개발
- 미성숙 랫드 자궁비대반응시험을 이용한 DEHA의 내분비계 장애작용 평가
- 인천지역 일부 학교의 실내 및 대기 중 포름알데히드 농도 평가
- Impact of Water Quality on the Formation of Bromate and Formaldehyde during Water Ozonation
- 유류오염토양에서 유류분해 미생물의 분리 및 peat moss를 이용한 오염토양 처리에 관한 연구
- 물벼룩을 이용한 bisphenol A의 급성독성 평가
- 국내 초등학생의 체내 총수은 농도 및 노출요인 조사
- 수돗물속 생물막 형성의 초기 세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