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북아 물류 및 카페리 허브항구로서의 속초항의 전망과 과제
이용수 25
- 영문명
- Tasks and Perspectives for the Sokcho Port: Focus on Logistics and Car-ferry Services in Northeast Asia
- 발행기관
- 한국유통과학회
- 저자명
- 이광근(Kwang Kue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유통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2007년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591~60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속초항은 2000년 4월 러시아와 중국으로 이어지는 백두산 항로 개설 이후 소무역과 백두산 관광 활성화에 기여해오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속초항이 중국 동북3성과 극동 러시아를 우리나라의 수도권과 최단거리로 연결해주는 해상교통의 지리적 요충지이며, 러시아 시베리아 철도(TSR)와 연결되어 몽골,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와 모스크바를 거쳐 유럽으로 진출하는 전략적 기지로서의 역할수행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속초항과 일본의 니이가타항을 연결하는 새로운 항로 개설을 눈앞에 두고 그동안 서울과 동경을 오가는 물류의 과도한 육상 수송비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속초항은 동북아시아 물류 및 카페리 항로의 허브항으로서의 전망도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 하에 속초항의 지리적 장점을 활용한 항로개척 및 여객 물류의 선점으로 동북아시아 물류 및 정기여객 허브항으로서 육성시켜나가기 위한 속초항의 전망과 과제제시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속초항의 일반현황과 동북아 물류 및 정기여객 항로 현황을 제시하고, 이어서 속초항을 둘러싼 내부 및 외부환경에 대한 SWOT분석을 실시하여 동북아 물류 및 카페리 허브항으로서의 가능성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속초~니이가타~자루비노항로 개설에 따른 전망과 향후 속초항이 동북아시아 물류중심지로서의 교역을 충실히 수행해 나가기 위한 항만 및 물류 인프라 구축마련 등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 하에 속초항의 지리적 장점을 활용한 항로개척 및 여객 물류의 선점으로 동북아시아 물류 및 정기여객 허브항으로서 육성시켜나가기 위한 속초항의 전망과 과제제시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속초항의 일반현황과 동북아 물류 및 정기여객 항로 현황을 제시하고, 이어서 속초항을 둘러싼 내부 및 외부환경에 대한 SWOT분석을 실시하여 동북아 물류 및 카페리 허브항으로서의 가능성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속초~니이가타~자루비노항로 개설에 따른 전망과 향후 속초항이 동북아시아 물류중심지로서의 교역을 충실히 수행해 나가기 위한 항만 및 물류 인프라 구축마련 등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Since the Mt. Paektu-sea service was inaugurated in April 2000, the Sokcho Port has contributed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small trade and Mt. Paektu tourism. The reasons are as follow:
1) the Sokcho Port is geographically a key position to reach three Northestern Chinese provinces and Russian Far East within the shortest distance by marine transportation and
2) the Sokcho Port is appropriate for making inroads into Europe markets via Central Asia and Moscow. Furthermore, it can be expected that the Sokcho Port becomes a main hub port of logistics and regular passenger ship services in Northeast Asia because the new marine route between the Sokcho and Naigata Ports is established in near future.
This study focused on how to promote the Sokcho Port toward a main hub port of logistics and regular passenger ship services in Northeast Asia. Thu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couple of steps were taken: 1)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about logistics and regular passenger ship services in Northeast Asia and 2) evaluated the Sokcho Port utilizing the SWOT tes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tasks to become a main hub port in Northeast Asia.
1) the Sokcho Port is geographically a key position to reach three Northestern Chinese provinces and Russian Far East within the shortest distance by marine transportation and
2) the Sokcho Port is appropriate for making inroads into Europe markets via Central Asia and Moscow. Furthermore, it can be expected that the Sokcho Port becomes a main hub port of logistics and regular passenger ship services in Northeast Asia because the new marine route between the Sokcho and Naigata Ports is established in near future.
This study focused on how to promote the Sokcho Port toward a main hub port of logistics and regular passenger ship services in Northeast Asia. Thu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couple of steps were taken: 1)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about logistics and regular passenger ship services in Northeast Asia and 2) evaluated the Sokcho Port utilizing the SWOT tes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tasks to become a main hub port in Northeast Asia.
목차
Ⅰ. 서론
Ⅱ. 속초항에 있어서 동북아 물류 및 정기 여객항로 현황
Ⅲ. 속초항에 관한 SWOT분석
Ⅳ. 결론 - 전망과 과제 -
참고문헌
Abstract
Ⅱ. 속초항에 있어서 동북아 물류 및 정기 여객항로 현황
Ⅲ. 속초항에 관한 SWOT분석
Ⅳ. 결론 - 전망과 과제 -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맹사업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시행령’ 개정안에 따른 가맹사업의 긍정적측면과 부정적측면
- 기업의 HACCP 도입 효과
- 월마트의 해외성공요인 및 국내실패요인 분석
- DCF푸드 성공전략
- 안양시 농수산물 도매시장의 성공요인 분석
- 컨테이너운송과 보험사고 연구
- 프랜차이즈본부, 가맹점간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안
- 중국 현지 한국기업의 대응 전략
- 한국 화장품 유통 구조의 특징과 문제점
- 한국 패션 산업의 특징과 전략
- 유닛로드시스템 표준화 확산연구
- 친환경농산물 판매 활성화 방안
- 국내 가구구조 변화에 따른 고객만족을 위한 농산물 적정 포장규격 제안
- 국내 카테고리 킬러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재래시장과 중소 유통의 현재와 활성화 방안 연구
- 한국 중소유통업의 경쟁력강화 방안의 시스템적 접근연구
- 온라인 비즈니스의 IMC 전략과 고객관계의 질에 관한 연구
- 철도 운송 중 서비스 완결성 획득을 위한 DMT (Dual Mode Trailer) 수송시스템 연구
- ADR의 최종성에 관한 사례연구
- 유비쿼터스시대의 SCM 대응전략과 RFID응용사례
- 국내 주요항만의 동북아 환적중심항을 향한 필요요인 분석
- 동북아 물류 및 카페리 허브항구로서의 속초항의 전망과 과제
- 전시컨벤션 활성화를 통한 도시마케팅 전략 - 광주시 김대중 컨벤션센터(DJ센터)를 중심으로
- 삼원종합물류 성공전략
- 왜 재래시장엔 젊은이가 없는가?
- 농산물 전자상거래 활성화 방안
- 쇼퍼테이먼트 야우리의 성공전략
- 소매점에서의 판매 촉진을 위한 Visual Merchandising
- 국내유통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 대동백화점 지역 성공전략
- “Wal-Mart ads in Vogue magazine”을 통한 대형마트의 패션브랜드 전략에 대한 고찰
- 流通經濟이데올로기와 가난으로부터의 自由-聖經的 流通經濟學의 胎動
- 두부 제품의 유통중 품질관리
- 국제철도 물류사업 추진 및 인프라 구축현황
- 한국 철도물류 수송체계 혁신 방안에 관한 연구
- 동북아경제통합에 관한 연구 - 한ㆍ중ㆍ일을 중심으로
- 철도물류 활성화와 철도물류기술의 발전
- 슈퍼바이저의 직무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재래시장과 대형할인점의 상생방안
- 캐터링업체의 식자재 구매 및 관리 현황 - 신세계푸드 중심의 운영(구매, 가공, 물류 등) 현황
- 농산물 유통 물류비 절감을 위한 유럽형 커튼식 자동적재함 TBS[Truck Box System]보급 활성화 방안
- 국내 제약 도매상의 경쟁력 요인 분석
- 남북철도 연결에 따른 화물열차 운행에 대한 연구
- 소비자 인식도 분석을 통한 외식산업 발전방안 - 패스트푸드를 중심으로
- 한ㆍ중 항만의 경쟁과 협력
- 한국시장에서의 스타벅스 성공전략
- 以建立中韩FTA为基础的东北亚物流发展战略 - 以渤海地区山东港口群海上物流为中心
- RFID 유통물류정보System의 도입과 활성화에 대한 연구
- 우리나라 농산물 유통구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RFID을 통한 가공공장에서 이력추적시스템의 적용에 관한 연구
- 국제적 대형식품점의 점포상권의 시장규모 분석
- 中国电子商务的探讨
- 호텔 이용고객의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선진화된 재래시장 탐방을 통한 국내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 제시 - 지동시장 c.f 퀸 빅토리아마켓
- 주식시장에서의 시스템 트레이딩과 주관적 거래와의 비교 및 효용성 분석 - 미국선물회사 중심으로
- 대학생 창업계획 모델 수립 - 와인칵테일 전문점 창업 계획
- 와이엔제이 에스테라의 성장 전략
- 우리나라 컨테이너 수급불균형 실태현황과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 PB(PL) 개발의 현상과 과제
- 식품유통과 ISO 22000 식품안전경영시스템
- 유럽지역 販賣據点 活性化 방안 『物流據点 最適化 爲主-S사의 사례중심』
- 성공한 인터넷 쇼핑몰 사례 분석 및 성공요인 고찰
- 동계학술대회 발표일정
-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전략 - 해외시장개척 및 생존전략
- 유통과 물류의 영역과 발전과제
- 중국의 유통시장
- 소매점의 일시적 품절상황에서 소비자 행동연구
- 물류 환경변화와 인재육성방안
- 글로벌시대에 물류산업의 추진과제
- 프랜차이즈와 외식업의 방향
- 식품산업의 현황과 식품유통품질에 관한 연구
- 豚肉 流通 歷史와 TREND
- 한우 명품화 브랜드경영전략에 관한 연구 - 휭성한우 명품화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 Y社의 국제물류 전략사례 - G-SCM 개선 전략 제안
- 한우 브랜드축산물의 유통과 소비동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