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생 글’을 사용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 단원 학습 활동 구성에 대한 연구
이용수 116
- 영문명
- Study on Construction of Korean-textbook Unit Activity in Middle school By Using Student’s Text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은미(Lee Eunmi)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1권 4호, 243~26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는 ‘학생 글’을 지문으로 채택하여 학습 활동의 전체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중학교 국어 교과서 단원에 대한 연구이다.7차 교육과정 이후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학생 글’ 단원의 학습 활동에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고 특징과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교과서에 수록된 ‘학생 글’ 관련 활동의 특징이 모범 텍스트나 결여 텍스트의 성격으로 수행된다는 점을 검토하였다.그러나 모범 텍스트나 결여 텍스트로 사용되는 경우,그렇게 평가할 수 있는 적절한 판단의 기준을 정하고 분석하고 평가하는 과정을거쳐 모방 학습의 단계에 이르도록 학습 활동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이 연구를 통하여 국어 교과 교육에서 ‘학생 글’이 지닌 역할과 가치를 재인식하고,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며,교과서 지문과 활동이 지향할 발전적 미래를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영문 초록
This is study about unit of middle school korean-textbook that select ‘student’s text’ and construct some part of learning activity. Concern with unit learning activity that are included in korean-textbook since the 7’th curriculum analysed contents looked into features and change. Then investigated the fact that the activities about ‘student’s text’ in textbook are carried out with nature of model text or deficiency text. But in a case of using as a model text or deficiency text, it needed to decide standard of judgment, analysis and investigation then control learning activity to reach the step of imitation. Through this study in korean subject education want to rediscover role and value of ‘student’s text’, prepare the method of effective using, help to planning developmental future of textbook activit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선행 연구와 연구 방법
3. 교과서에 수록된‘ 학생 글’의 성격과 특성
4. 교과서에 수록된‘ 학생 글’ 관련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5. 나오며;‘ 학생 글’을 활용한 교과서 단원 활동에 대한 기대 및 전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80년대 소설의 서사적 이중구조
- 문학상의 새로운 진화와 ‘젊은작가상’
- 외국인 학부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경험 연구
- 글쓰기에 대한 대학 기초반과 비기초반 교육 요구도 비교 연구
- 문화적 리터러시로서 K-POP 스타의 관상학적 고찰
- 국내 대학 신입생 글쓰기 교육에서의 “글쓰기에 대한 글쓰기” 접근법 적용 가능성 및 방법 고찰
- 매체 특질에 따른 고전 콘텐츠 다시 읽기와 다시 쓰기 연구
- 웹 기반의 통합적 독서토론 수업 모형 연구
- 조선인 학병세대의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
- 1950년대 종합지의 매체전략과 독자인식
- ‘학생 글’을 사용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 단원 학습 활동 구성에 대한 연구
- 에듀테크 기반의 글쓰기 수업 설계
- 4·19를 보는 두 가지 시선
- 대학사회와 리터러시 교육공동체의 개념과 논리
- 신인작가의 생존투쟁
- 사회과학 교과목의 전공연계 글쓰기(WAC) 교육의 효과 분석
-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촉진을 위한 교과목 내 에세이 과제 활용 설계 및 효과 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