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examination on Whether the Graveyard Right by Prescription Custom Has Been Extinguished or Not: Supreme Court da17292 Case, Sentenced on January 19, 2017.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법학회
- 저자명
- 노한장(No, Han-Jang)
- 간행물 정보
- 『부동산법학』부동산법학 제24집 제4호, 121~14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분묘기지권에 관한 시효취득을 인정하는 관습법은 적어도 토지소유자의 승낙 없이 타인의 토지에 분묘를 설치한 자에게 토지사용권 기타 분묘의 보존을 위한 권리를 주장할 수 없도록 규정한 장사법(법률 제6158호) 시행일인 2001. 01. 13. 무렵에는 그 법적 규범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법적확신도 소멸하였고, 헌법, 민법, 장사법 등 전체 법질서에도 부합하지 않으므로 그 법적 효력이 소멸되었다고 판단된다. 다만, 관습법의 특성상 그 소멸은 법원의 판결 또는 입법에 의하여 확인(승인)되면 그 법적 확신이 소멸된 시점으로 소급하여 효력이 발생하게 될 것인바, 관습법 소멸의 소급적용으로 인한 법적 안정성 보호 및 법생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장사법(법률 제6158호 등) 부칙 제2조에 따라 분묘기지권 관습법은 장사법(법률 제6158호) 시행일인 2001. 1. 13. 이전에 설치된 분묘에 대해서는 비록 시행일 당시 취득시효가 완성되지 않았더라도 종전 분묘기지권에 관한 관습법의 법적 규범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결론적으로, 장사법 시행 전에 설치된 분묘에 대해서는 분묘기지권의 시효취득을 인정하는 관습법이 적용된다. 그러나 이는 그 관습법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장사법이 특별히 부칙 규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e customary law for acknowledging the graveyard right by prescription custom has been expired around the enforcement date of the Funeral Law(Act 6158) that stipulates a person who has installed tombs on another’s land without at least the consent of the land owner cannot claim the right to use land or other rights for the preservation of tombs. By the time of the enforcement date on January 13, 2001, the legal effect of graveyard right was judged to have expired because the legal conviction of the members of the society about the legal norm seems to have been extinguished and as it did not conform to the entire legal order such as the Constitution, Civil Law, and Funeral Law. By it’s nature, if customary law is approved for extinction by judgment or legislation, it will take effect retroactively to the time when the legal confidence disappeared. However, in accordance with Article 2 of the Supplementary Provisions of the Funeral Laws(Act 6158, etc.) to protect legal stability and to prevent confusion in life, the customary law for graveyard right should be applied to the tombs which have been established before the effective date of the Funeral Law(Act 6158) on January 13, 2001 even if they didn’t not have been acquired prescription at that time. In conclusion, the customary law that recognizes graveyard right by prescription is applied to the tombs which have been constructed before the enforcement date of Funeral Law (Act 6158). The reason is not because the customary law is lasted, but because the Funeral law prescribes the special supplementary provision.
목차
Ⅰ. 판결 내용
Ⅱ. 관습법의 유지 또는 소멸에 관한 판단기준
Ⅲ. 판례 분석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디지털포렌식 절차에서 음란물 디지털 증거의 관련성과 문제점 - 대법원 2023도11395 판결을 중심으로
-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대면권과 전문법칙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 ‘수사와 기소 분리’ 법률안에 대한 논의와 대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