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정부 소셜 미디어 기록정책에 관한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the Public Record Policy of Korean Government Social Media: with comparative perspective to the US Government Cases
- 발행기관
- 한국비교정부학회
- 저자명
- 남기범(Ki-Bum Nam)
- 간행물 정보
- 『한국비교정부학보』제20권 제4호, 149~16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any previous research proposed that social media contents of Korean government agencies must be recognized as a national record and preserv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nalyzed cases in the United States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with an interest in the tasks necessary for institutionalizing the recording policy of social media and the introduction of methodology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As a basis of comparison, this study adopted the issue of record concept, governance, record keeping method. Based on three criteria, we analyzed cases in the United States and derived the following three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concept of record. It should be stored and managed, including content created on government social media in electronic document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revis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Secondly, from the viewpoint of records management governance, the role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important. At first NAK should recognize the necessity of handling national contents on government social media, social media records to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agencies and agencies.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practical committee for handling concerning government social media records as national records. Thirdly, relating to the method of maintaining and preserving records of social media,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developed information technology to ensure the possibility of integrity approach and store and manage it.
목차
I. 서 론
II. 정부 소셜 미디어의 기록관리 이론과 사례
III. 기록보존에 관련된 쟁점과 미국정부 사례분석
IV. 한국 정부 소셜 미디어 기록관리정책의 시사점
V. 결론
참고문헌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후기 신공공관리(Post-NPM)와 관료제
- Strategies for Vitalization of Social Enterprises in Art & Culture Area
- 복지레짐의 진화론적 패러다임 비교에 관한 연구
- Organizational Context and the Impact of a Public Information System on Public Employees’ Task Performance
- 한국의 정부 소셜 미디어 기록정책에 관한 연구
- 부산국제영화제를 둘러싼 공공갈등의 제도적 프레임 분석
- In Pursuit of Creative Linkages in the Network Society: Implications for a Philosophy of New Governance in Korea
- 정보문화 거버넌스 구축 방안
- 상하이 러췬사회복지관을 통해 본 중국 민간사회복지관의 발전가능성
- 한국의 대도시 특례제도에 관한 연구
- 국가 재무제표상 비배분비용 배분에 관한 연구
- Comparative Study on a Local Council Secretariat of Korea and Japan- Focusing on Contextual Approach for Reformation Effort –
- Development of a Tool to Assess Core Fundamental Nursing Techniques among Nursing Students in Korea
- 민간항공사 운항승무원의 건강관련 삶의 질(HRQoL) 예측모형
- 성과연봉제 도입에 대한 조직구성원 지지의 결정 요인
- 지방공무원의 공공갈등 상황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드론 정책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