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ultidrug-resistance reversing activity of the local Citrus fruits in Jeju Island, Korea
이용수 0
- 영문명
- Multidrug-resistance reversing activity of the local Citrus fruits in Jeju Island, Korea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Lee, Sook-Young Kim, Sun-Min Hwang, Eun-Ju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 학술심포지엄』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1, 41~5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양파추출물의 간보호 및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간 손상을 유발시키는 t-BHP (1.5mM) 존재하에 간세포를 0, 0.01, 0.05, 0.1 및 0.3 mg/ml의 다양한 농도의 양파추출물로 1시간 동안 일차배양하였다. 간세포 독성과 생존율은 배양액의 GOT와 LDH 활성 및 MTT 값으로 결정하였고, 지질과산화는 TBARS 농도로 측정하였다. 항산화에 미치는 효과는 catalase, GSH-Px, GSH-Rd 활성 및 DNA strand breaking assay로 결정하였다. t-BHP는 GOT와 LDH 활성 및 TBARS 농도를 증가시켰으며 MTT값은 감소시켰다. 0.05 mg/ml 이상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1.5 mM 농도의 t-BHP에 의해 증가된 GOT 및 LDH 활성을 감소시켰으며 0.01 mg/ml 이상 농도의 양파추출물은 t-BHP에 의해 감소된 MTT 값을 증가시켰다. 또한 0.01 mg/ml 이상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t-BHP에 의해 증가된 TBARS 농도를 감소시켜 양파추출물이 t-BHP에 의해 유발된 간손상과 지질과산화를 억제시켰다. 1시간 동안 1.5 mM 농도의 t-BHP 처리는 간세포의 catalase, GSH-Px 및 GSH-Rd 활성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그러나 0.01 mg/ml 이상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t-BHP에 의해 감소된 catalase, GSH-Px 및 GSH-Rd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catalase 활성은 t-BHP 무첨가군 수준까지 증가시켰다. 또한 hydroxyl radical을 생성하는 Fenton 시약의 존재하에 plasmid DNA를 양파추출물과 함께 배양하였을 때양파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hydroxyl radical에 의해 유도된 single-strand 절단을 억제하였다. 이상과 같이 간세포 일차배양에서 양파추출물은 t-BHP에 의해 유발된 간독성, 간세포 생존율 감소, 지질과산화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시켰고 또한 t-BHP에 의해 억제된 GSH-Px, GSH-Rd 및 catalase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이와 같이 양파추출물의 간보호 및 항산화 효과는 항산화 효소, 특히 catalase의 활성 증가와 hydroxyl radical에 의해 유도된 산화억제 및 이에 따른 지질과산화 억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s of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onion extracts. Primary cultures of rat hepatocytes were incubated with 1.5 mM tert-butyl hydroperoxide(t-BHP), potent oxidizing agent for liver injury for 1 hr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various concentrations (0, 0.01, 0.05, 0.1 or 0.3 mg/ml) of onion extract. Cytotoxicity and cell viability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GOT) activity, lactate dehydrogenase(LDH) activity and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MTT) value. Lipid peroxidation was evaluated using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assay. Effects on antioxidant system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GSH-Px), glutathione reductase(GSH-Rd) activities as well as DNA strand breaking assay. Incubation with t-BHP alone increased GOT and LDH activities and TBARS concentration but decreased MTT reduction. Onion extracts at the concentration of 0.05 mg/ml began to decrease GOT and LDH activities induced by 1.5 mM t-BHP. Decreased MTT reduction began to be increased by onion extract at the concentration of 0.01 mg/ml. Onion extracts at the concentration of 0.01 mg/ml began to decrease TBARS concentration induced by t-BHP. Taken together, onion extracts prevented t-BHP-induced hepatocyte injury and lipid peroxidation. Catalase, GSH-Px and GSH-Rd activities of hepatocyt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1.5 mM t-BHP for 1 hr incubation. Onion extracts, on the other hand, at the concentration of 0.1 mg/ml began to prevent t-BHP-induced decrease in catalase, GSH-Px and GSH-Rd activities. Onion extracts prevented hydroxyl radical-induced single-strand breakage in dose-dependent manner when plasmid DNA was incub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onion extracts in the presence of Fenton regents producing hydroxyl radical.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onion extracts suppressed t-BHP-induced cytoctoxicity, decreas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방사선 조사가 무(Raphanus sativus L.) 종자의 초기생육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효과
- 인삼의 표피로부터 Ginsenoside 전환활성을 가진 균주의 분리 및 특성검정
- 적산우점도를 이용한 미동산수목원 잡초군락 분석
- Bacterial(Xanthomonas oryzae pv. oryzae) Concentration in Irrigation Water in Customary Occurrence Area of Bacterial Leaf Blight of Rice
- 약용작물 택사의 종자 소독제 선발
-
참깨 전
${\cdot}$ 후작물 도입이 잡초발생에 미치는 영향 - 고구마 품종 간 접목효과 분석
- 인삼 재배토양의 토양 미생물의 분류을 위한 T-RFLP기술의 이용
- 1차 수확정도가 삼백초 경엽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산마늘 기능성 활성물질 탐색 및 자원화
- 삼백초 적정 종근굵기 구명
- 한국산 갓버섯과 (Lepiotaceae)의 분류학적 재검토
- 포인세티아 미숙 적색 포엽배양에 의한 체세포베 발생 및 식물체 재분화
- 충청북도 제천시 생태숲 조성예정지의 유용식물 및 희귀식물
- Antinociceptive Antiinflammatory Effect of a Diterpene Isolated from the Herb of Siegesbeckia pubescens
-
국내자생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유전자원의 군락지 조사 및 수집
${\cdot}$ 증식 - 고려인삼 신품종 Expressed Sequence Tags(ESTs)로부터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의 확인
- 분화용 유망 자생화의 주년관상을 위한 적정 분식조합
- 홍삼제조법의 개선을 통한 기능성 사포닌 성분의 함량증대
- 약용식물종자의 혈전분해 활성에 대한 감마선 조사의 영향
- 산방산(천연기념물 제376호)의 식물상
- Genetic relationship of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cultivars based on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 피복재료에 따른 포도나무 유목의 월동방법 구명
- 저장 조건에 따른 밭더덕의 조사포닌 및 Codonoside 함량 변화
- 더덕에서 Low Temperature And Salt Responsive Protein (CIL TSR)유전자의 분리
-
몇 가지 자생식물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온도, 광,
$GA_3$ 및$KNO_3$ 의 영향 -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peach(Prunus persica L. Batsch cultivars based o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 밀, 호밀, 보리의 사초 영양 비교 연구
-
인삼 근권에서 분리한
${\beta}$ -glucosidase를 생산하는 균주에 의한 Ginsenoside-Rb1의 선택적 전환 - 천연염료 개발을 위한 제주 자생식물의 염색성에 관한 기초연구
- 건조효모 첨가량이 배식초의 알콜발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중국의 매실나무(Prunus mume)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 산자고 자생지의 생육특성 모형
- 서귀포자연휴양림의 식물상
- 양파(Allium cepa) 추출물의 간보호 및 항산화 효과
- The Change of Sugar Content and Sucrose Synthetic Enzyme Activity during Fruit Grouth in Eggplant (Solanum melongena L.) under Different Polyethylene Mulches
- 도토리 가공 부산물로부터 추출된 탄닌을 이용한 천연염색기술개발
- Effects of early growth and antioxidant activity with Irradiation Dose and Storge Time in Gamma-Irradiated Helianthus annuus. seeds
-
서목태(Rhynchosia nulubilis)의 발아과정 중 발아 특성과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함량 변화 - 약용식물 황금의 잿빛곰팡이병 방제를 위한 종자소독제 개발
- 발왕산 갈퀴현호색 군락지의 식물상과 식생
- 페퍼민트(Mentha piperita)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의 효과
- 고려인삼(Panax ginseng C.A. Meyer) chlorophyll a/b binding protein(CAB) 유전자 염기서열 비교
-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한 인삼근권미생물의 다양성 및 군집 비교분석
- 피틴산 저함유 쌀의 특성에 관한 연구
-
Ginsenoside Rb1을 전환시키는
${\beta}-glucosidase$ 효소생성 균주의 분리 및 동정 - 약용식물 율무의 잎마름병 방제 약제 선발
- 메밀종자의 페놀함량 및 항산화 활성
- 안덕계곡(천연기념물 제 377호)의 식물상
-
산더덕의 포장
${\cdot}$ 저장 조건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 - MNU 처리에 의한 벼 종자 관련 돌연변이의 특성에 관한 연구
- The density of the Smaller Brown Planthopper of Rice Stripe Virus Disease Vector after Barley Harvest.
- 한국과 중국의 자두나무(Prunus salicina)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 Mass Production of Adventitious Root of Dioscorea nipponica Makino using Bioreactor for the Production of Steroidal Saponins
- 바질(Ormenis multicaulis)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의 효과
- Multidrug-resistance reversing activity of the local Citrus fruits in Jeju Island, Korea
- Antinociceptive Antiinflammatory Effect of Monotropein Isolated from the root of Morinda officinalis
- 두충나무 수피 채취방법에 관한 연구
- 백수오(이엽우피소)의 번식법에 따른 생육 및 수량
- 밀, 호밀, 보리의 사초 수량성
- 한국과 중국의 살구나무(Prunus armeniaca)의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 인삼 근권에서 분리한 토양미생물에 의한 인삼사포닌의 전환
- 저장방법이 삼백초 생근경 품질에 미치는 영향
- Genetic diversity of Cultivated and wild Tartary buckwheat (Fagopyrum tataricum Gaert.) accessions in East Asia revealed by AFLP analyses
- 산삼배양근의 기내배양을 통한 고기능성 ginsenosides의 생산
- 피복재료에 따른 삼백초 월동방법 구명
- 왜화제처리후 일장처리가 동자꽃과 기린초의 분화 상품성에 미치는 영향
- Application of Life Sciences to Improve the Natural Resources Usage for Plant Growth
- Elicitor처리에 의한 Squalene Synthase 유전자 도입 인삼 형질전환체의 생장 및 사포닌 양상
- 남산의 균류 다양성과 균류자원
- 충청북도 미동산 능선부의 식생구조 및 식물상
- 서양금혼초의 알레로패시 효과
-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의 전엽체 기내 대량증식 및 포자체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요인
- Progress and Prospects of Rapeseed Breeding in Korea
- 시로미의 숙지삽목시 배양조건이 발근과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
- 접목이 고구마 건물생산에 미치는 영향
- 마늘 인편으로부터 유기된 캘러스의 증식 및 유식물체 분화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
- 배추재배에 있어서 계분혼합 효모제의 화학비료 대체효과
- 경운기와 트랙터를 이용한 삼백초 근경수확 효율비교
- 약용작물 율무의 깜부기병 방제를 위한 종자 소독제 개발
- 행운목 잎 절편배양으로부터 대량증식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의 효과
-
메밀(Fagopyrum esculentum
$M{\ddot{o}}ench$ )의 발아기간에 따른${\gamma}$ -Aminobutyric Acid (GABA) 함량 및 생리 활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