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iversity and origin of bottle gourd, Lagenaria
이용수 0
- 영문명
- Diversity and origin of bottle gourd, Lagenaria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Yuasa, Hiroshi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 학술심포지엄』2002년도 심포지엄, 96~97쪽, 전체 2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higher dicotyledonous plants, the floral organs are arranged in four different whorls, containing sepals, stamens and carpels. petals, stamens and carpels. The specification of floral organ identity is explained by the ABC model (Weigel and Meyerowitz 1994). expression of an A-function gene specifies sepal formation in whorl 1. the combination of A-and B-function genes specifies the formation of petals in whorl 2, B-and C-function genes spesify stamen formation in whorl 3, and expression of the C-function alone determines the formation of carpels in whorl 1. A-, B-, C-function genes have been isolated from many plant species and most of them belong to the family of MADS-box genes encoding transcription factor. In contrast to the flower of higher dicots, the perianths of genseng plants have three whorls of almost identical petaloid organs. van Tunen et al. (1993) proposed a modified ABC model, exemplified with tulip. In this model, B-function genes are expressed in whorl 1 as well as whorl 2 and 3, theefore the organs of whorl 1 and whorl 2 have the same petaloid structure. They proposed this model with the molphological data of wild type and mutant flowers of tulip, however, there are no molecular data. To date, B-function genes were isolated several grass plants, rice, wheat and maize. However, grass plants have highly derived flowers, without well-developed perianths. To find out how the ABC model has to be modified for the Genseng plants, we have cloned and characterized orthologs of A-, B-, C-function genes from gensen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감자 Dihydroflavonol Reductase 유전자의 antisense 발현에 의한 phenylpropanoid 생합성 대사의 조절
- 양하(Zingiber mioga Roscoe)에서 항균활성물질 분리 및 구조동정
- Diversity and origin of bottle gourd, Lagenaria
- In Vivo Measurement of Plant Vitality by the Fluorescence Transient
- 백운산지역의 관속식물상
- Family of floral homeotic genes (MADS-box genes) expressed in early flower Panax genseng
-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의 항산화능 및 생물학적 평가
- 바위솔(Orostachys japonicus)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증식억제
- 제주도 산딸나무 군락의 생태적 특성
- 희귀식물 무주나무(Lasianthu japonicus Miquel)의 특성과 자생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