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agnosis and Management of Meibomian Gland Dysfunction
- 발행기관
- 대한검안학회
- 저자명
- 송종석(Jong Suk Song) 김효명(Hyo Myung Kim)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Vol.15 No.2, 37~39쪽, 전체 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revalence of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patients is high in South Korea and many of dry eye patients who seek medical services are associated with MGD. Therefore, we have to examine ocular surface and eyelid margin together in dry eye patients. MGD tends to progress. If the obstruction of excretory duct were untreated for long time, gland acini would result in atrophic change. Therefor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are necessary to open the obstruction of orifice and excretory duct before Meibomian glands become atrophic.
목차
서 론
마이봄샘 기능장애의 진단
마이봄샘 기능장애의 진단장비
마이봄샘 기능장애의 치료
결 론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난독증과 얼렌증후군
-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of Pediatric Graves’ Orbitopathy in Korea
- 기저질환 없던 환자에서 발생한 전방의 염증을 동반하지 않은 양안 폐렴막대균 내인성 전안구염
- 23게이지 유리체절제술시 23게이지 주사바늘을 이용한 공막절개의 임상 결과
- 한국에서 시행된 각막인레이 삽입술의 초기 임상결과 보고
- Spontaneous Anterior Dislocation of the Crystalline Lens in a Patient with Thyroid Associated Ophthalmopathy and Previous Glaucoma Attack
- 조기 발병 근시를 가진 환아에서 약시 발생의 위험인자
- 마이봄샘 기능장애의 진단과 치료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 국내 건강불평등 및 의료불평등 연구동향 분석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수급자의 시설/병원 이행의향 영향 요인
- 한국 청년의 마약류 사용 영향 요인: 2022 청년삶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READER’S FORUM
- 3D lip changes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with premolar extraction: A prospective cohort study comparing surgery-first and orthodontics-first approaches
- The effects of low-yield nicotine cigarette smoke inhalation on orthodontic tooth move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