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Complications after Laser Refractive Surgery using VISX S4
- 발행기관
- 대한검안학회
- 저자명
- 이민정(Min Joung Lee) 위원량(Won Ryang Wee) 이진학(Jin Hak Lee) 김미금(Mee Kum Kim)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Vol.5 No.1, 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VISX S4를 이용한 라식 및 라섹의 수술 중,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률을 알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VISX S4 (VISX Inc, Santa Clara, CA)와 M2 (Moria, France) 110 um head로 레이저굴절수술을 시행을 받고, 2개월 이상 추적 관찰한 라식 166안과 20% 알코올을 30초간 적용하여 시행한 라섹 168안을 대상으로 합병증을 굴절 관련, 절편 관련 등으로 나누어 이환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라식 후 각막편 유리, 각막편 주름, 중심절편경계면출혈이 각 1안(0.60%), 미세선조가 2안(1.21%)에서 발생하였다. 미만성층판각막염 26.5% 중 Grade 2 이상은 4.21%였다. 라섹 술 후 불규칙 상피 회복이 1.79%, Grade 1 이상의 상피세포하 혼탁은 14.88%였고, 이 중 시력저해를 유발한 Grade3 이상의 혼탁은 1.79%였다. 중심부 융기는 1.19%에서 발생하였다. 술 후 구면렌즈 대응치 +0.5 디옵터 초과 교정된 과교정은 라식 후 8.43%, 라섹 후 7.14%였고, 저교정은 라식에서 1.81%, 라섹에서 1.79%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근시재발은 라섹에서만 2.38%였다. 합병증 발생으로 술 전최대교정시력보다 술 후 교정시력이 감소한 경우는 2.10%였다.
결론: VISX S4를 이용한 각막 레이저굴절수술에서 굴절 관련 합병증의 이환율은 라식과 라섹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시력을 저해하는 합병증은 2.10%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f LASIK and LASEK using VISX S4.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data from 334 eyes of 183 patients who followed up at least 2 months. LASIK was done in 166 eyes using VISX S4 and Moria M2 of 110 um head and LASEK was performed in 168 eyes with application of 20% alcohol for 30 seconds. The incidences of refractive-related and flap-related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Free cap, flap fold, and center interface hemorrhage were found in an eye (0.60%), respectively microstriae was observed in two eyes (1.21%) after LASIK. Diffuse lamellar keratitis were developed in 44 eyes (26.5%). Irregular epithelial healing, subepithelial haze of more than Grade 1, and central island were presented in 3 eyes (1.79%), 25 eyes (14.88%) and 2 eyes (1.19%), respectively. Grade 3 or more of subepithelial haze producing visual disturbance was developed in 3 eyes (1.79%). The incidence of undercorrection and overcorrection was 8.43% and 1.81% in LASIK, and 7.14% and 1.79% in LASEK, respectively, which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ose two.
Conclusions: The incidence of refractive related complication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LASIK and LASEK using VISX S4. The visual decrease that can not be corrected was developed in 2.10% after refractive surgery.
                    목차
서 론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Usefulness of high-resolution vessel wal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the diagnosis of vertebral artery dissection
- 샤르코-마리-투스 병 환자의 로봇 보조 복강경하 근종절제술 시 마취 관리: 증례보고
- Sevoflurane 투여 후 발생한 Anaphylaxis 유사 반응: 증례보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