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악력기 관련 국내 특허 현황 분석 및 시사점
이용수 88
- 영문명
-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Domestic Patents Related to a grip instrument
- 발행기관
- 대한치료과학회
- 저자명
- 지동철(Chi Dong-Cheol) 김상호(Kim Sang-Ho) 지창진(Ji Chang-Jin)
- 간행물 정보
- 『대한치료과학회지』Vol. 12, No. 2, 73~8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In this study, the invention patent registered with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was targeted to search for information on domestic patents related to grip devices, and the title of the patent was used as a Keyword.
Method: It was collected from a patent information search service(KIPRIS, www.kipris.or.kr) owned b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A total of 281 patents were found from January 1974 to December 2019.
Results: First, it is judged to be influence various media outlets and the increasing social interest in health care since the 2000s. Second, it is believed that the aging of the population worldwide has led to the active study of grip strength and health, and the demand for relatively easy-to-do exercises among busy modern people has increased, which has led to the emergence of grip equipment as a well-being industry. Third, interest in various contest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has increased in lin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onclusions: In addition to the grip function, intensiv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areas that can explore new markets by combining Korea s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various sensors, although the proportion of production is currently low, such as games, grip gauges, and body composition analyzer through biometric measurements, etc. in addition to the grip function, is expected to be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복부 안정화를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이 목긴근의 두께와 목빗근, 목갈비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nsory-motor training on balance function in adult women using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and sonic vibration
- 보행용 워커 사용 시 손잡이 형태, 높이의 차이가 일어서기 동작 시 상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키네시오 테이핑과 요천추 보조기를 적용한 트레드밀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 정상 삽입 인공와우 전극의 수술 중 감시 3례
- WHODAS 2.0 국내 적용에 대한 고찰
- 어깨뼈 안정화 운동이 작은 가슴근 길이 변화와 어깨통증 및 장애정도(SPADI)에 미치는 영향
- 호흡 증진 활동이 뇌성마비 아동의 구강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악력기 관련 국내 특허 현황 분석 및 시사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Comparison of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thickness in college students with forward and normal posture: an ultrasound cross-sectional study
- The effect of shoulder muscle exercise therapy on functional level, grip strength and pain in patients with lateral elbow tendinopat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