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상 삽입 인공와우 전극의 수술 중 감시 3례
이용수 47
- 영문명
- 3 Cases of Normal Insertion Electrode Integrity in Cochlear Implant Surgery
- 발행기관
- 대한치료과학회
- 저자명
- 허승덕(Heo, Seung-Deok) 이상흔(Lee, Sang-Heun) 김이혁(Kim, Yee-Hyuk) 정다영(Jung, DaYoung)
- 간행물 정보
- 『대한치료과학회지』Vol. 12, No. 2, 83~8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Cochlear implantation is the process of inserting a very small and soft electrode into the intrascalar. During surgery, the electrode can be kink or failure,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chlea can be damaged by the electrode tip. The study aims to retrospectively analyze the electrode-to-tissue impedance(electrode impedance), voltage compliance, stimulation artifact, electrically compound action potential(ECAP) implemented during the surgery to examine the clinical implication with a literature review.
Participants & Method: The participants are three 70 to 76-year-old male implantee to whom MedEl s synchrony(Flex 28) implanted to the left ear.
Results: The electrode impedance was observed in 1.69 to 8.25 ㏀, the voltage compliance was observed in 0.52 to 2.38 V, and the inter-channel voltage compliance be ranging from 0.11 to 0.38 V, respectively. In each channels, the baseline of the ECAP waveform was consistently observed, and the threshold of ECAP was observed to be ranging from 7.7 to 26.1 qu.
Conclusion: In conclusion, intraoperative monitoring of electrode integrity during the surgery, the malfunctioning of the device together with the various issue that stem the surgery process can be discovered, hence resulting in obtaining valuable proof in solving the issues detec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복부 안정화를 동반한 목 안정화 운동이 목긴근의 두께와 목빗근, 목갈비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nsory-motor training on balance function in adult women using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and sonic vibration
- 보행용 워커 사용 시 손잡이 형태, 높이의 차이가 일어서기 동작 시 상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키네시오 테이핑과 요천추 보조기를 적용한 트레드밀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 정상 삽입 인공와우 전극의 수술 중 감시 3례
- WHODAS 2.0 국내 적용에 대한 고찰
- 어깨뼈 안정화 운동이 작은 가슴근 길이 변화와 어깨통증 및 장애정도(SPADI)에 미치는 영향
- 호흡 증진 활동이 뇌성마비 아동의 구강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악력기 관련 국내 특허 현황 분석 및 시사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Comparison of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thickness in college students with forward and normal posture: an ultrasound cross-sectional study
- The effect of shoulder muscle exercise therapy on functional level, grip strength and pain in patients with lateral elbow tendinopat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