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세채 『심학지결(心學至訣)』의 체계와 철학사상적 의의
이용수 51
- 영문명
- On the Structure and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Park Se-chae s(朴世采) Sim-Hak-Ji-Gyeol(心學至訣)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저자명
- 이창일(LEE Chang-il)
- 간행물 정보
- 『태동고전연구』제45집, 247~27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17세기 조선의 박세채(朴世采)가 지은 『심학지결(心學至訣)』의 체계와 그 철학적 의의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심학지결』은 심학(心學)의 핵심 사상을 경(敬)으로 보고, 이에 대한 언설들을 범주적으로 구분하여 정리한 저술이다. 이로부터 경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 즉 경학(敬學)이 성립되었다. 이는 내면으로는 공자의 인학(仁學)과 정주(程朱)의 심학을 하나로 파악하여 경학을 유학의 본질로 천명하기 위한 것이고, 외면으로는 경의 외적 표현인 예(禮)에 존재론적 근거를 정초하여 극심하게 분열된 세계에 질서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었다. 사상사적으로 보면, 경학은 심학의 본질적 가르침을 조탁(雕琢)한 것으로, 이는 기존 『심경(心經)』 연구의 축적에 따른 결실이다. 이 과정에서 경학의 내용은 정구(鄭逑)의 『심경발휘(心經發揮)』를 계승하였고, 형식은 조익(趙翼)의 『지경도설(持敬圖說)』에서 영향을 받았다. 이런 의미에서 『심학지결』은 17세기 조선유학의 특별한 성취라고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system and its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Sim-Hak-Ji-Gyeol(心學至訣), which means a very extremely important teaching in Sim Learning(心學, learning of the mind), written by Park Se-chae(朴世采) in Joseon during the 17th century. Sim-Hak-Ji-Gyeol is a work that sees the core idea of Sim Learning as Gyeong(敬, respect and attention) and organizes the remarks about it categorically. From this, a systematic discussion of Gyeong was established, or Gyeong Learning(敬學). This was to identify Confucius’ Jen Learning(仁學) and Jeong-Ju’s Learning(程朱學) on the inside as one, proclaiming Gyeong Learning as the essence of Confucianism, and to give order to a severely divided world by laying an ontological foundation on Rye Learning(禮學), the external expression of Gyeong on the outside. On the thought history perspective, Gyeong Learning is an elaboration of the essential teaching in Sim Learning, a fruit of the accumulation of existing Sim-Gyung(『心經』, Classic of the Mind) studies. In this process, the contents of Gyeong Learning were inherited from Jeong Gu’s(鄭逑) Sim-Gyung-Bal-whoey(心經發揮) and the form was influenced by Cho Ik’s(趙翼) Ji-Gyung-Do-Seol(持敬圖說). In this sense, Sim-Hak-Ji-Gyeol is a special achievement of Confucianism in Joseon during the 17th centur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조선의 『심경』 연구 흐름
3. 저술의 이유
4. 『심학지결』의 구성
5. 당대의 평가
6. 나오는 말 : 심학의 조탁(雕琢)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역명의(周易明意)』 발췌 번역
- 석전의 상징성과 향교 석전의 식민지적 변용
- 사칠설에 나타난 신후담의 사유방식
- 태동고전연구소 소장 고문헌에 관한 소고
- 『주역』의 생명공동체적 선(善)과 치유의 생명미학
- 박세채 『심학지결(心學至訣)』의 체계와 철학사상적 의의
- 陶淵明門第再探討: 基於職官制度的考察
- 근현대 ‘위성(衛聖)’ 공동체의 등장과 지역 사회 변동
- 유교부식회(儒敎扶植會)의 『인도(人道)』 연구
- 『주례(周禮)』의 저작 시기 및 저자에 대한 시론
- 『성호사설유선(星湖僿說類選)』 서문
- 『주역명의(周易明意)』의 비평적 접근
- 동아시아 유학의 용서 해석
- 탈유교사회 유림 네트워크 분석 시론
- 간독첩과 간찰서식집 서발문을 통해 본 간찰에 대한 제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