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tioxidative Effects of Several Compositae Plants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천상욱(Sang-Uk Chon) 김영민(Young-Min Kim) 한승관(Seung-Kwan Han) 최성규(Seong-Kyu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17권 제1호, 14~19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남 순천지역 들판에서 채취한 수종의 국화과 식물의 항산화 능력을살펴보았다. Rancimat와 TBA 방법을 이용하여 국화과 식물 중 항산화 효과가 높게 나타난 서양민들레, 조뱅이, 쑥을 선발하였다. 유지 산화안정도에 대한 실험에서 BHT와 ascorbic acid가 각각 3.86과 2.43 AI(Antioxidative Index)를 나타냈고 한련초 잎이 1.51 AI를 나타냈다. 이것은 서양민들레 잎이 유지산화안정도에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한편 건조된 분쇄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장기간의 산화 억제에 대한 TBA실험에서 저장 4주 째에 BHT, ascorbic acid가 각각 0.05와 0.09 TBARS치를 나타낸 반면, 서양민들레 잎은 0.12의 수치를 나타내 대조구 1.01 TBARS치 보다 월등히 낮은 수치를 보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서양민들레, 조뱅이, 쑥 등의 국화과 식물에서 비교적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 식물체들은 기존의 인공 항산화제에 대한 하나의 대체수단으로서 식물유래 천연 항산화제로의 개발 가능성 을 시사해 주었다.
영문 초록
Aerial parts of Compositae plants were harvested from pastures and crop fields of Sunchon area at vegetative stage to determine their antioxidant activity. Among 13 species, three species Taraxacum officinate, Breea segeta, and Artemisia princeps were selected as potent plant materials. Through measurement by Rancimat and TBARS method, antioxidative effect was the greatest in Taraxacum officinate among plant species. Antioxidative index (AI) investigated by Rancimat showed Siegesbeckia glabrescensi was 1.51 while commonly-used antioxidants, BHT and ascorbic acid were 3.86 and 2.43, respectively. The highest TBARS value was also obtained from Taraxacum officinate(0.18) at 4 weeks after storage, indicating the plant ha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during long time. Even though TBARS value (0.18) in Taraxacum officinate sample showed lower in all plants than two synthetic antioxidants(0.05-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plants were much higher than that of a control (1.01).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lants have antioxidant potential as an alternative natural antioxidant based on natural plant resources.
목차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사사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초제 Basta를 이용한 Phosphinothricin Acetyltransferase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현사시 3호의 효율적인 선발
- 한국 미기록 식물 종: 소황금 (골무꽃속, 꿀풀과)
- 동계 시설재배용 재래부추 동장군 선발
- 덕유산의 천연생 주목나무림 식생구조
- 쪽파(Allium wakegi Araki)의 정단분열 조직배양으로부터 식물체 분화와 인경형성
- 한라구절초 잎절편 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
- 방향성 자생새우란 나래 선발
- 자생새우란 화색변이주 색동 선발
- Chitosan과 Jasmonic acid 처리에 의한 인삼 부정근의 Ginsenosides의 생산성 증대
- 인삼 천풍의 부정근 배양을 통한 Ginsenosides 생산
- 쪽파(Allium wakegi Araki)의 아미노산 분석과 항산화 활성
- 소백산의 천연생 주목나무림 식생구조
- 수 종의 국화과 식물의 항산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 고효율의 아그로박테리움 형질전환법을 이용한 제초제저항성 나리 식물체 개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방풍 구조물 설치에 따른 옥수수 화분 비산 및 교차수분 저감 효과 연구
- Genetic stability analysis of in vitro micropropagated fire blight-resistant apple rootstocks
- Identifica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FLOWERING LOCUS T and TWIN SISTER OF FT floral integrator genes in Pak-choi (Brassica rapa ssp. Chinen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