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iodiversity of Korean Myxomycetes(II)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조덕현(Cho, Duck-Hyun)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16권 제3호, 245~25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97년부터 7월부터 2000년 8월까지 지리산국립공원, 변산반도국립공원, 모악산도립공원, 만뢰산, 위봉사, 운장산, 민주지산에서 채집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확인 된 것은 관검은털먼지 (Amaurochaete tubulina), 쇠열매체먼지(Cribraria microcarpa), 빛 체먼지(Cribraria splendens), 흰색축먼지 (Diachea leucopodia), 이리장내먼지 (Enteridium lycoperdon), 노랑실먼지(Stemonitis flavogenita), 검은실먼지 (Stemonitis fusca)이었다. 이것들은 낙엽, 고목등 식물성 유기체에서 서식하고 있었고 이들에 대하여 한국보통명을 신칭 하였다.
                    영문 초록
Many myxomycetes were collected at Pyunsan penisula national park, Mt.Moak, Mt.Minjuji, Mt.Manrae, Wanju, Mt.Unjang from July, 1996 to August, 2000. They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Amaurochaete tubulina, Cribraria microcarpa, Cribraria splendens, Diachea leucopodia, Entreridium lycoperdon, Stemonitis flavogenita and Stemonitis fusca were unrecorded species in Korea. Characterisctics of them were habitated on rotten wood and fallen leaves. They were designed Korean common names by author.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요약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홍경천의 생육특성검정 및 재배지역 탐색
- 흑오미자(Schizandra nigra Max) 즙액의 추출조건과 추출물의 특성
- 감자 유전자원 평가 및 다양한 컬러 감자 품종 개발
- 느타리버섯 봉지 재배 시 수량증가를 위한 최적살균방법
- 한국산 변형균류의 다양성(II)
- 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에서 분리한 Tobacco Mosaic Virus의 특성
- 양액이온 농도 차이가 오이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에 관한 국제 동향과 생물다양성 연구
- 더덕(Codonopsis lanceolata) 재배지 기생선충의 발생상황
- 더덕에서 Nucleoside Diphosphate Kinase 1 분리 및 분석
- 간척지의 염분농도 차이가 토양의 화학적 조성과 벼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RAPD marker를 이용한 고려인삼(Panax ginseng C.A.Meyer)의 유전적 변이 분석
- 더덕의 주근에서 유래한 Dehydrin 1 (Dhn1) 유전자의 분리 및 분석
- 남부도서지역에서 차광처리가 울금 (Curcuma aromatica Salisbury)의 주요 형질에 미치는 영향
- 자병취(Saussurea chabyoungsanica Im)의 외부형태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 고효율의 아그로박테리움 형질전환법을 이용한 제초제저항성 나리 식물체 개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방풍 구조물 설치에 따른 옥수수 화분 비산 및 교차수분 저감 효과 연구
- Genetic stability analysis of in vitro micropropagated fire blight-resistant apple rootstocks
- Identifica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FLOWERING LOCUS T and TWIN SISTER OF FT floral integrator genes in Pak-choi (Brassica rapa ssp. Chinen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