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知母의 生育特性과 部位別 Sarsasapogenin 含量
이용수 0
- 영문명
-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Sarsasapogenin in Different Plant Part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허일범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10권 제2호, 183~187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7.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실험은 지모의 생리, 생태적 특성과 성숙한 상태의 각 부위별 Sarsasapogenin의 함량을 비교 분석하고자, 5개의 수집종에 대해 1993년부터 95년까지 충남농촌진흥원 특작포장에 재배하고 성숙된 지모의 각 부위별 Sarsasapogenin 함량을 T.L.C plate 방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5개 수집종 중 주로 종실(種實)형을 나타낸 것은 공주, 청양 수집종이고 영양번식(營養繁殖)형은 금산, 연기, 유성종에서 주로 분류되어 있으며, 종실(種實)형이 비종실형보다 생육(生育) 및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이 양호하였다. 2. BuOH에 엑스를 산(酸)으로 가수분해(加水分解)한 후 T.L.C 용매(溶媒) 전개조건(展開條件)인 CHCl3 : MEK : EtOH의 비율을 11 : 2 : 0.5로 하여 sarsasapogenin 분리(分離)가 가능하였고 Dual wave length T.L.C scanner로 정량(定量)이 가능(可能)하였다. 3. 주근(主根)과 세근(細根)의 sarsasapogenin의 량(量)은 각각(各各) 1.67mg/10g, 1.31mg/10g으로 세근(細根)에 sarsasapogenin의 량(量)이 주근(主根)보다 1.1배(倍)로 높게 나타나 세근(細根)에 sarsasapogenin 계통(系統)의 물질(物質)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상부(地上部)의 sarsasapogenin 함량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sarsasapogenin in different plant part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Five native-cultivars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for several agronomic traits. The collected native-cultivars were classified into two seed-attached peduncle and vegetative propagation types. Seed-attached peduncle lines were predominance of growth traits than vegetative propagation. For the content of sarsasapogenin in each part was investigated, BuOH extarct of timo was developed on silica gel 60G plate using elution solvent(CHC12: Methyl ethyl Ketone : EtOH = 11 : 2 : 0.5). The developed plate were examined using Dual Wavelength Zig - Zag using. Content of sarsasapogenin in main root and lateral root were respectively 1.67mg/g and 1.31mg/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Study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SOD-mimic Compounds in Panax ginseng C.A.Meyer
- 조생종양파의 수량과 저장성에 미치는 비료의 영향
- 식물유전 및 육종학 연구에서의 분자생물학적 마커기술의 이용
- 기상요인이 대두의 지방함량에 미치는 영향
- 방풍 신품종 식방풍 1호 의 생육특성 및 수량성
- 한국산 고등균류기(XIII)
- 가시오갈피 미숙배로부터 Callus 형성 및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배의 성숙정도 및 배지의 효과
- 범부채의 기내증식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물질 및 무기염류농도의 효과
- 知母의 生育特性과 部位別 Sarsasapogenin 含量
- 벼 아소미노리 교배조합 품종의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 더덕 및 참취포장에서의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한 잡초방제 I. 더덕 및 참취포장에서의 주요잡초 분포양상 및 잡초종자발아에 미치는 황산 및 열처리효과
- 지황재배시 재식방법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日川穹의 定植期와 裁植距籬가 生育 및 收量에 미치는 影響
- Acetosyringone을 이용한 효율적인 White Clover의 형질전환
- 삼지구엽초의 근주저장방법에 따른 맹아 및 초기생육
- 宥機質 肥料 施用이 柴胡의 根收量과 Saikosaponin 含量에 미치는 影響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