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NA marker 지문법에 의한 취나물 5종 (청옥취 , 개미취 , 참취 , 수리취 , 곰취)의 비교연구
이용수 14
- 영문명
- Comparative studies of the five edible mountain vegetables by DNA marker fingerprinting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유기억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9권 제3호, 305~31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용 취나물 5종류의 종간 유사도 및 종내 변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38개체를 대상으로 PCR 방법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사용된 62가지 primer 중에서 38개체 전체에서 band를 보여준 것은 10가지였고, 이를 통해 얻어진 총 band의 수는 176개로 나타났다. 종내변이는 청옥취가 31.1%에 해당하는 15개의 polymorphic band를 가져 변이가 가장 낮았으며 곰취는 61.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군집분석 결과 조사된 38개체는 유사도 0.93에서 5종의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38개체 각각은 유사도 0.62-0.99의 유사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내변이는 0.93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변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PCR방법을 이용한 결과가 취나물 5종류를 구분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며 군집분석 결과 종내 변이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Five edible mountain vegetables(Saussurea sp. Aster tataricus, A. scaber. Synurus deltoides, Ligularia fischeri)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amplified DNA polymorphisms resulted from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The sampled plants consisted of 38 individuals in 5 taxa. Only 10 primers out of 62 primers (60 random [10-mer] primers, two 15-mer [M13 core sequence, and (GGAT) sequence]) tested gave rise to polymorphisms in all of the tested plants, producing 176 DAN fragments amplified. Intraspecific polymorphisms found in each taxa showed intraspecies constancy (31.1-61.1%) in the banding patterns of individual plants: Saussurea sp. 31.1%, 15 bands, Aster tataricus, 40.9%, 18 bands, A. scaber. 38.5%, 15 bands. Synurus deltoides, 34.7%, 17 bands, and Ligularia fischeri, 61.1%, 22 brands, respectively. All five species were well classified from each other at the 0.93 level of similarity index value. Intraspecific and interspecific variations were appeared at the levels ranging from 0.62 to 0.99. Based on these results, our PCR analyses support the previous data derived from external morphology of the 5 edible mountain vegetables, but very low levels o intraspecific variations were detected in all of these taxa.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더덕순 채취가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 재배장소에 따른 더덕의 일반성분과 향기성분의 조성변화
- 무궁화 품종내의 flavonoid 성분분포에 관한연구
- 모단 재배시 비료 종류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비가림과 점적 관수재배가 양파의 채종량에 미치는 영향
- NaCl 처리에 의한 벼 종자의 발아생리에 관한 연구
- 한국산 자낭균류기 (I)
- 구기자나무의 구기순 재배기술에 관한 연구 I. 품종과 구기순 채취길이에 따른 생육 및 구기순 수량
- 채취시기 및 품종에 따른 구기순의 지방산과 아미노산조성
- 수집종긴의 구약감자 성분비교
- 벼 작기이동에 따른 조만성별 수상의 착생변이
- 섬쑥부쟁이의 차광망 처리에 재식거리에 따른 생육 및 수량변화
- 생육환경이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의 향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시비 및 착화부위가 천람종자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 시비수준의 차이가 야콘의 물질생산과 광합성속도에 미치는 영향
- DNA marker 지문법에 의한 취나물 5종 (청옥취 , 개미취 , 참취 , 수리취 , 곰취)의 비교연구
- Fruit Wall Anatomy of Ocotea (Lauraceae)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