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ersonification Ad Message Effect: Focused on the Narrator’s Person Perspective and Advertiser Green Credibility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주경희(Chu, Kyounghee) 김지윤(Kim, Ji Yoon)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8권 제6호, 19~2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린 공익광고 속 의인화 메시지의 설득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광고 속 화자의 시점과 광고하는 주체(광고주)의 그린신뢰성 수준에 따라서 의인화 메시지의 설득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즉, 광고주의 그린신뢰성(공공기관 vs. 사기업)에 따라서 효과적인 광고 속 화자의 시점(1인칭 시점 vs. 3인칭 시점)이 다른지 밝히고자 한다. 실험 결과, 광고주의 그린신뢰성이 높은 공공기관의 경우, 광고 속 화자가 1인칭 시점일 때 3인칭 시점보다 설득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광고주의 그린신뢰성이 낮은 사기업인 경우, 광고 속 화자의 인칭 시점이 3인칭 시점일 때 1인칭 시점보다 설득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린 공익광고 속 의인화 메시지의 설득 효과에 있어서, 심리적 반발이론을 기반으로 본 연구의 가설을 제안하고 체계적인 실험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수사법을 활용한 공익 광고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 동시에 인칭 시점을 그린 광고 영역으로 적용하여 보다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존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personification ad message according to the narrator’s person perspective and advertiser green credibi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ersuasive effectiveness of personification ad message will be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 of a narrator’s person perspective and advertiser green credibility. In case of high advertiser green credibility, there is a better message attitude toward a narrator’s first person perspective rather than a narrator’s third person perspective while in case of low advertiser green credibility, there is a better message attitude toward a narrator’s third person perspective rather than a narrator’s first person perspective. This has some contributions in that it builds the basics for relevant studies and expands research domain of green advertising literature using rhetorics. Also, the link between person perspective and psychological reactance theory provides a new look for future research.
목차
I. 서 론
II. 선행연구 고찰
III. 실 험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식품사의 TBL 기반 지속가능경영이 브랜드 애착과 지속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재능마켓의 현황과 성공사례에 대한 연구: Crebugs
- 현지화된 제품은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 남미 소비자의 문화전이가 한국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영화상품 산업의 공정거래 환경 조성의 고용효과 분석
- 스마트공장 수준 측정의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화장품 개발을 위한 전남 지역 자생 식물 추출물의 활성 연구
-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활동차원이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부 광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Reloaded: The Role of Affective and Cognitive Mechanism
- 브랜드 재활성화 전략에서 창의적 마인드셋 효과
- 이기적 vs. 이타적 동기요인이 기부의 효과성 기대와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편의점 도시락 포장지의 색상이 제품의 건강 인식과 구매 의향에 미치는 영향
- 기술, 판매유통 라이센싱에 포함된 기업간 제휴의 역할
- 의인화 광고메시지 효과 차이
- 캐빈승무원의 개인역량에 관한 연구
- 서비스 산업 종사자의 감정 관계에 고객 서비스 지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 한·중·일 FTA를 활용한 동북아 전자상거래 및 물류 활성화 전략
- The Formation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rough Transgenerational Entrepreneurial Effort and Its Impact on the Entrepreneurial Outcome: the Case of Korean Micro Family Business
-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무적 제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리더십효능감과 선제적 행동의 관계와 LMX질의 매개효과
- 리더의 타인지향완벽주의가 수동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나르시시즘과 도덕면허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직위 중심 리더십 역량 모델을 활용한 신임 경찰관의 리더십 역량 요구분석: Borich 모델 및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